전체 글2359 앵초[앵초과] 앵초가 곱게 피는 계절이다 습지를 좋아 하는 앵초는 전국의 산지 계곡이나 습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도 등장하는 앵초는 영국, 중국, 일본 등 여러나라에 자라는데 환경과 못된 손에 의해서 자생지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라 한다 앵초 : https://topman515.tistory.com/113 https://topman515.tistory.com/443 : https://topman515.tistory.com/967 https://topman515.tistory.com/1383 : https://topman515.tistory.com/1876 흰앵초 : https://topman515.tistory.com/175 설앵초 : https://topman515.tistory.com/99.. 2021. 4. 16. 노랑붓꽃[붓꽃과] 노란색 꽃이 피는 붓꽃으로는 금붓꽃, 노랑붓꽃, 노랑무늬붓꽃이 있는데노랑붓꽃은 1개의 꽃대에 2개의 꽃이 달리는 점이 금붓꽃과의 차이 점이다.또한 식물체 자체가 금붓꽃보다 크며 물가에 군락을 이루며 자라는 점도 금붓꽃과 다른 점이다금붓꽃은 전국에 분포하지만 노랑붓꽃은 전북과 전남, 경북의 일부 지역에만 자라는 특산식물이다. 한 개의 꽃대에 꽃이 2개씩 달린다붓꽃 : https://topman515.tistory.com/494 https://topman515.tistory.com/1012 각시붓꽃 : https://topman515.tistory.com/459 https://topman515.tistory.com/153솔붓꽃 : https://topma.. 2021. 4. 15. 왜제비꽃[제비꽃과] 왜제비꽃은 키가 작다는 뜻의 왜 자를 쓰는데 제비꽃 중에서 변이가 가장 심하기 때문에아주 작은 개체부터 다른 제비꽃보다 더 큰 개체까지 다양하다.꽃의 색깔도 붉은색, 자주색, 흰색 등으로 다양하며 꽃의 안쪽에 털이 있는 것과 없는 것,잎의 모양도 긴 타원형, 바소꼴, 둥근형 등으로 여러 가지가 있어서 식별하기가 매우 어려운 편인데공토적인 점은 잎에 가루를 바른 것 같이 분 백색이 돈다는 것이다 2021. 4. 14. 깽깽이풀[매지니무과] 노란 꽃술의 깽깽이풀을 보려고 멀리 꽃여행을 다녀오다이른 아침에 빛이 좋을 때 담고 싶지만 깽깽이풀은 잠꾸러기라서 10시나 되어야 꽃잎을 활짝 열어 준다.언제 보아도 고운 깽깽이플은 농민들이 한창 바쁜 봄철에 봄바람을 맞으며 한들한들 춤을 추며논다고 깽깽이풀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span style="color: #333333; text-align: sta.. 2021. 4. 13. 동네한바퀴 다친 손목이 온전치 못하여 걷는 운동밖에 할 수 없어서 쉬는 날에는 아침 일찍 시원하고 상쾌한 아침 바람을 맞으며 동네를 한 바퀴 돈다. 간편한 복장에 휴대전화만 들고 천천히 걸으며 돌아보는 동네의 모습이 참으로 곱다 신호대기 중에 보는 로터리 자투리에 심을 튤립은 붉은 낮으로 인사를 건네고 꽃잔디도 핑크빛으로 반갑게 맞아 준다. 아스팔트의 좁은 틈에 꽃을 피운 민들레와 호제비꽃은 욕심내지 말고 검소하게 살라고 당부하는 것 같아서 폰카로 열심히 담아 본다. 서양민들레가 공원 한 켠을 제 집인 양 피어 있고 왕벚나무도 봄바람에 한들거리며 맞아준다. 아~~ 참으로 아름다운 계절이다 2021. 4. 13. 넓은잎제비꽃[제비꽃과] 북방계 식물이며 석회암지대에서 자라는 호석회암 식물인 여러해살이 풀이다.석회암을 좋아하는 식물은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도 잘 자라는데 그렇기 때문에북방계식물이 강원도와 충북의 북부지방의 석회암 지대에 잘 자란다.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된 넓은잎제비꽃은 강원도 영월, 태백,충북의 북부지방에 드물게 자란다. 잎이 원심형으로 폭이 2.5~6cm로 넓고 크며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고 잎맥이 뚜렸하며 잎맥에 털이 있다.4~5월에 연보라색 꽃이 피는데 측판 꽃잎 안쪽에 털이 있고 꽃받침은 5개 이다. 2021. 4. 12. 앵두나무[장미과] 앵도나무가 맞을까요 앵두나무가 맞을까요 한글 맞춤법으로는 앵두나무로 씁니다. 앵두나무는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올 때 이름도 따라 들어왔다 중국에서는 처음에 열매가 꾀꼬리처럼 예쁘고 먹을 수 있으며 생김새는 작은 복숭아 같다고 꾀꼬리 앵(鶯)과 복숭아 도(桃)를 써서 앵도(鶯桃)라 했다 그러다 어린아이처럼 작은 복숭아라 하여 어린아이 앵과 나무 목을 합친 한자 앵두나무 앵(櫻) 자를 쓰는 앵도(櫻桃)로 변했다. 앵도, 앵두 둘을 같이 쓰는데 맞춤법으로는 앵두로 표기한다 복사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433 https://topman515.tistory.com/1485 : https://topman515.tistory.com/1870 산옥매 : https://top.. 2021. 4. 12. 처녀치마[백합과] 산지의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잎이 방석처럼 퍼지며 도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고 윤기가 있는데 처녀치마란 이름은 잎이 방석처럼 퍼져서 붙여진 이름 같지만 일본 이름을 잘못 번역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꽃은 4월에 적자색으로 피지만 핀 후에 자록색으로 변한다. 비슷한 식물로 숙은처녀치마가 있는데 꽃이 밑을 향에 고개를 숙이며 잎이 좁은 선형이다 처녀치마 : https://topman515.tistory.com/436 https://topman515.tistory.com/1363 : https://topman515.tistory.com/1846 숙은처녀치마 : https://topman515.tistory.com/177 https://topman515.tistory.com/1355 2021. 4. 11. 자주괴불주머니[현호색과]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의 산기슭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2년생풀이다.잎이 깃처럼 갈라지고 쐐기형이며 꽃은 4~5월에 자주색과 분홍색으로 핀다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1조선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6 https://topman515.tistory.com/1862들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3 https://topman515.tistory.com/964 갈퀴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970 https://topman515.tistory.com/1364 .. 2021. 4. 11. 모데미풀[미나리아재비과] 물가 또는 습지에서 잘 자라는 모데미풀은 이름처럼 모여서 자란다 올 해는 봄비가 많이 와서 생육상태가 좋다. 강원도 청**산에 갔더니 진사들이 너무 많아서 아예 포기하고 정상에 올라서 바람꽃을 담고 왔다 이 꽃은 다른 곳에서 담은 모데미풀인데 이 곳은 알려지지 않은 곳이라 꽃이 다치지 않게 조심하며 편하게 담을 수 있어서 좋다 모데미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152 https://blog.daum.net/topman515/434 : https://blog.daum.net/topman515/956 https://topman515.tistory.com/1365 : https://topman515.tistory.com/1386 2021. 4. 8. 복사나무[장미과] 포항에 꽃을 담으러 가는 길에 길옆의 복숭아 과수원에 복사꽃이 너무나 예쁘다 차를 세우고 폰카로 몇 컷을 담다. 화사한 봄날의 고운 복사꽃. 어느 가수가 불렀던 '외나무다리가 '생각난다 복사꽃 능금꽃이 피던 내 고향~~ 봄은 이렇게 깊어만 가네. 복사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433 https://topman515.tistory.com/1485 : https://topman515.tistory.com/1870 산옥매 : https://topman515.tistory.com/974 https://topman515.tistory.com/1398 옥매 : https://topman515.tistory.com/1389 앵두나무 : https://topman515.tistory.. 2021. 4. 8. 까마귀밥나무[까치밥나무과] 암수가 다른 그루인 2가화이며 암꽃은 암술과 퇴회된 수술이 있고 열매를 달고 꽃이 핀다.수꽃은 퇴화한 암술과 수술이 있다.까마귀밥나무는 콩알 크기에 꼭지가 볼록한 빨간 열매가 특징인데까마귀의 밥이 열리는 나무'란 뜻이다.열매는 쓴맛이 나지만 특렵히 독성은 없고 먹을 수는 없다.그래서 사람들이 싫어하는 까마귀나 먹으라고붙인 이름이다. 까마귀가 알면 엄청 싫어할 것 같은' 까마귀밥나무 수꽃 : 가운데 퇴화한 암술과 6개의 수술이 있다 까마귀밥나무 암꽃 : 암술과 퇴화한 수술이 있다 암꽃은 볼록한 열매를 달고 나온다 까마귀밥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432까치밥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2406명자순 : https://topman515... 2021. 4. 6. 이전 1 ··· 160 161 162 163 164 165 166 ··· 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