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59 노랑제비꽃 해발 300m 이상의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 살이 풀이다줄기가 있는 유경종 제비꽃이며 잎은 심장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다 있다 2021. 3. 26. 목련[목련과] 목련은 꽃의 크기와 꽃잎의 펼쳐진 모습이 연꽃과 매우 닮았다 연꽃처럼 크고 아름다운 꽃이 나무에 달인다고 목련(木蓮)이라 부르게 되었다 목련은 한라산에서 자라는 우리나라의 토종 나무이다 목련 : http://blog.daum.net/topman515/417 자목련 : http://blog.daum.net/topman515/110 초령목 : https://topman515.tistory.com/1185 함박꽃나무 : http://blog.daum.net/topman515/212http://blog.daum.net/topman515/489 2021. 3. 26. 털제비꽃[제비꽃과] 양지쪽 산자락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며 줄기가 없는 무경종 제비꽃이다잎과 줄기 및 꽃잎의 안쪽에 털이 있으며 잎의 뒷면은 갈색이다.초봄에는 잎과 꽃대에 붉은색이 돌다가 기온이 올라가면 녹색으로 변한다 2021. 3. 25. 광대나물[꿀풀과] 이른 봄에 자주색 꽃을 무리 지어 피우는 광대나물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2년생 풀이다. 꽃 모양이 광대의 목에 두르는 장식과 비슷하다 하여 광대나물이라고 부르며 기름진 땅에서 잘 자란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데 맛도 좋고 약재로 쓰일 만큼 영양도 풍부하다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고 지혈작용과 진통작용도 있으며 관절염 완화에도 도움을 준다고 한다 광대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128 https://topman515.tistory.com/931 : https://topman515.tistory.com/415 흰꽃광대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137 유럽광대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163 자주광대나물 : .. 2021. 3. 25. 냉이[십자화과] 봄나물의 대명사 냉이는 양지쪽에서 자라는 2년생 풀이다노지에서 월동 할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여 척발한 땅에서도 잘 자라며 단맛이 있고 향기도 좋아봄나물로 인기가 아주 좋다냉이에는 영양도 풍부하여 칼슘, 인, 철, 칼륨과 비타민 A, B1, B2, C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봄철에 기운을 돋우는데도 냉이만 하게 없다고 한다냉이 : https://topman515.tistory.com/414 https://topman515.tistory.com/821싸리냉이 : https://topman515.tistory.com/907황새냉이 : https://topman515.tistory.com/1740애기황새냉이 : https://topman515.tistory.com/1864좁쌀냉.. 2021. 3. 25. 얼레지[백합과] 아주머니 한 분이 나뭇가지로 얼레지를 캐고 있다. 왜 꽃을 캐냐고 물으니 너무 에뻐서 화단에 심으려고 캔단다. 뿌리가 너무 깊이 들어가서 못캔다구 했더니 고집을 부리며 캐다가 꽃대를 끊어 버리고서는 머쓱하니 미안해 한다. 얼레지가 뿌리를 깊이 박는 이유를 알 것 같다. 내게 미안해 하지 말고 1년을 다시 기다려야 하는얼레지 한테 용서를 구하고 다시는 꽃을 캐지 말라고 했는데.. 언제나 자연의 소중함을 알 수 있으려나ㅠㅠ 흰얼레지 : https://topman515.tistory.com/422 얼레지 : https://topman515.tistory.com/950 https://topman515.tistory.com/1407 : https://topman515.tistory.com/1835 https://.. 2021. 3. 24. 별꽃[석죽과 쇠별꽃속] 들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별꽃은 2년살이 풀이다.이른 봄(2~4월)에 꽃이 피는 별꽃은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지고 4월부터 여름까지 꽃이피는 쇠별꽃은암술머리가 5개로 갈라진다. 그냥 봐서는 별꽃과 쇠별꽃의 구별이 않될 정도로 닮은 꽃이다별꽃 : https://topman515.tistory.com/411 https://topman515.tistory.com/1831 쇠별꽃 : https://topman515.tistory.com/1255왕별꽃 : https://topman515.tistory.com/707덩굴별꽃 : https://topman515.tistory.com/1155 개별꽃 : https://topman515.tistory.. 2021. 3. 24. 만주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만주에서 처음 발견되어 만주바람꽃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바람꽃 종류는 가는 꽃대가 바람에 잘 흔들린다 하여 바람꽃으로 불리며 발견한 곳 또는 꽃의 모양을앞에 붙여서 **바람꽃으로 부른다.이 꽃의 다른 이름은 조선바람꽃이라는데 차라리 이름를 바꾸었으면 좋을 것 같다.국내에서는 경기도 양주군의 부적골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한다.바람꽃 : https://topman515.tistory.com/866꿩의바람꽃 : https://topman515.tistory.com/144 https://topman515.tistory.com/424 : https://topman515.tistory.com/1326 https://topm.. 2021. 3. 23. 제비꽃[제비꽃과] 앞산의 무덤가에도 동네 공터에도 제비꽃이 한창이다긴 꽃대를 쫑긋 세우고 보라색 꽃을 예쁘게도 피웠다.모양이 비슷한 서울제비꽃이나 호제비꽃보다 잎자루와 꽃대가 긴 것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2021. 3. 23. 미치광이풀[가지과] 산 계곡에서 자라는 여러 해 살이 풀이며 키는 30~60cm 정도이다. 원뿌리는 옆으로 자라며 굵고 끝에서 털이 없는 원줄기가 나온다. 꽃은 잎이 퍼지기 전인 2월 말에서 3월 초에 벽자 색으로 피며 잎 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고 꽃자루가 길며 밑으로 처진다. 사람이 먹으면 미칠 정도로 독성이 강하다 하여 미치광이 풀이며 뿌리는 진통제 및 황산아드로핀의 원료로 사용된다. 비슷한 식물로 노란 꽃이 피는 노랑 미치광이풀이 있다 미치광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408 https://topman515.tistory.com/1340 2021. 3. 23. 모과[장미과] 봄날 분홍색의 제법 큰 꽃이 피고 가을이면 노란 모과가 익는다. 모양이 우리가 즐겨 먹는 참외를 닮았으나 울룩불룩하여 흔히 못생긴 남자에 비유된다. 과(瓜)는 원래 오이를 말하지만 박과 식물을 통털어 가리키기도한다 모과의 이름에서 '과'는 참외를 뜻하며 나무에 달리는 참외'라는 뜻으로 본래 목과(木瓜)였으나 "ㄱ"이 탈락하여 모과가 도었다 모과 : https://topman515.tistory.com/407 명자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154 https://topman515.tistory.com/1375 2021. 3. 22. 조선현호색[현호색과] 이름이 "조선현호색"이라 하니 왠지 토종 냄새가 나는 것 같다.전국의 양지쪽 산자락에 자라며 3~4월에 흑자색 또는 홍자색의 꽃이 피는데 잎은 손바닥을 벌린 것 같은 모양이다잎의 표면에 밀가루를 뿌린 것 같은 분백색의 하얀 무늬가 있는 것이 이 꽃의 특징이다 잎의 표면에 분백색의 하얀 무늬가 있다.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1조선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6 https://topman515.tistory.com/1862들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3 https://topman515.tistory.com/964 갈퀴현호색 : .. 2021. 3. 22. 이전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