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59

조팝나무[장미과] 조팝나무는 익어서 벌어진 열매의 모양이 좁쌀로 지은 조밥처럼 생겨서 붙인 이름이다조밥나무가 변하여 조팝나무가 되었다.조팝나무의 열매는 꽃이 지고 얼마 지나지 않아 황갈색으로 익어 5개씩 달린다. 그 모습이 갓 지은조밥을 그대로 닮았다. 조팝나무는 삽목(꺽꼿이)이 잘되어 번식이 용이하고  하얗게 모여 핀 모습도예쁠뿐아니라 향기도 좋고 꿀도 많아 정원수와 밀원식물로 많이 재배한다.조팝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431                           https://topman515.tistory.com/1415갈기조팝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1026꼬리조팝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300.. 2021. 4. 6.
솜방망이[국화과] 양지바르고 건조한 산자락에 특히 무덤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 키는 20~60cm 이고 원줄기는 꽃줄기형으로 거미줄 같은 흰 털이 밀생 하며 자줏빛이 돈다 뿌리에서 돋은 잎이 로젯형의 장타원형인데 양면에 솜털이 덮여 있기 때문에 솜방망이라고 한다 꽃은 3~6월에 피며 어린싹을 나무로 하고 꽃 부분을 거담제로 사용한다 솜나물 :https://topman515.tistory.com/426 https://topman515.tistory.com/1345 바위솜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1057 자주솜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806 풀솜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818 솜방망이 : https://to.. 2021. 4. 6.
산괴불주머니[현호색과] 산자락에 자라는 2년생 풀로서 속이 비어있고 가지가 많이 갈지며 전체에 분록새이 돈다잎은 빗살처럼 갈라져서 최종 열편이 장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다3~5월에 황록색의 꽃이 핀다 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1조선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6             https://topman515.tistory.com/1862들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3                   https://topman515.tistory.com/964  갈퀴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970              https://topman515.tisto.. 2021. 4. 6.
잔털제비꽃[제비꽃과} 이름에 잔털이 들어있는 것처럼 잎의 앞 뒤에 흰색의 잔털이 나있는 제비꽃이다주로 산지의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며 줄기가 없고 잎은 뿌리에서 돋으며 전체적으로 둥근 모습이고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흰색의 꽃이 피며 아래 꽃잎의 안쪽에 파란색 줄이 있고 측면 잎의 안쪽에 털이 있다 2021. 4. 5.
호제비꽃 흔히 제비꽃을 오랑캐꽃이라 하는데 그 이유가 바로 이 호제비꽃 때문이다.오랑캐 호(胡) 자가 들어가는 이름 때문에 제비꽃을 옛날 어른들이 부르던 이름이다주로 기름지고 습기가 많은 들녘에 흔하게 피는 꽃으로 제비꽃 과 비슷하지만잎자루가 제비꽃보다 짧고 꽃의 색에서 차이가 난다.중부를 경계로 이남에는 호제비꽃이 이북에는 서울제비꽃이 피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서울제비꽃과도 아주 흡사한 모습이다 2021. 4. 5.
솜나물[국화과] 건조한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봄과 가을에 두번 꽃이 피고 붉은 색과 흰색의 꽃이 있다 봄에 피는 꽃줄기는 높이 10~20cm로 아담하게 피지만 가을형은 잎이 크고 높이가 60cm에 달한다 잎에 거미줄 같은 흰 솜털이 빼곡하게 나서 솜나물이라 부르며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솜나물 :https://topman515.tistory.com/426 https://topman515.tistory.com/1345 바위솜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1057 자주솜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806 풀솜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818 솜방망이 : https://topman515.tistory.com/4.. 2021. 4. 3.
쇠뜨기[속새과] 양지바른 풀밭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 이른 봄에 생식경이 나와서 뱀대가리 같은 포자낭 이삭을 형성한다. 영양경은 포자낭이 터져서 포자가 퍼진 후에 나와서 30~40cm 정도로 자란다 쇠뜨기란 이름은 소(쇠)가 잘 뜯어 먹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이 풀에는 독성이 있어서 많이 먹으면 설사를 하기 때문에 소도 잘먹지 않는다. 생식경은 나물로 먹고 영양갱은 이뇨제로 사용한다는데 쇠뜨기를 먹는 것을 본 적이 없다 속새 : https://topman515.tistory.com/551 쇠뜨기 : https://topman515.tistory.com/94 : https://topman515.tistory.com/425 : https://topman515.tistory.com/1855 개쇠뜨기 : https:.. 2021. 4. 3.
꿩의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꿩의바람꽃은 꽃잎이 없고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인다.꽃이 활짝 폈을 때 이 꽃받침이 꿩의 목에 난 깃털과 비슷하다 하여 꿩의바람꽃으로 부른다.3, 4월에 중부 이북의 산에서 피는데 물기가 많은 물가에서 잘 자란다.  바람꽃 : https://topman515.tistory.com/866꿩의바람꽃 : https://topman515.tistory.com/144            https://topman515.tistory.com/424                   : https://topman515.tistory.com/1326                https://topman515.tistory.com/1834                너도바람꽃 :https://topman5.. 2021. 4. 2.
흰얼레지[백합과] 분홍색 얼레지 만송이에 흰얼레지 한 송이가 핀다고 하니 만나면 기쁘고 반갑기 그지없다. 그런데 작년에 보았던 흰얼레지는 모두 사라지고 없다 찾아서 몇 개체를 담았는데 이 꽃을 내년에도 볼 수 있을런지.. 나쁜 손은 어디에도 있다는 것이 마음을 씁쓸하게 한다. 흰얼레지 : https://topman515.tistory.com/422 얼레지 : https://topman515.tistory.com/950 https://topman515.tistory.com/1407 : https://topman515.tistory.com/1835 https://topman515.tistory.com/413 2021. 3. 31.
뫼제비꽃[제비꽃과] 이름처럼 비교적 높은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해발 1000m 이상의 지대에서 자라며 줄기가 없는 무경종 제비꽃으로 꽃은 자주색이고아래 쪽 꽃잎의 안쪽에 검은 색 세로줄이 있다.개화기는 3~5월이며 울릉도에서 자라는 뫼제비꽃을 독도제비꽃(울릉제비꽃)으로 부른다. 2021. 3. 29.
개구리발톱[미나리아재비과] 남쪽지방의 들이나 산자락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잎의 모양이 개구리의 발가락과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며 키는 15~30cm 정도이고 덩이줄기가 있다 3~5월에 흰바탕에 붉은빛이 도는 작은 꽃이 피며 뿌리는 약재로 사용한다 2021. 3. 27.
보춘화[난초과] 건저한 숲에서 자라는 상록성 여러해 살이 난초이며 굵은 뿌리에 물주머니가 있어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란다. 난 애호가들의 지나친 관심으로 남획이 심하지만 꿋꿋하게 잘 자라준 이 꽃이 고맙고 대견스럽다. 바닷가의 야산에서 담다 갈메기란 : https://blog.daum.net/topman515/894 나나벌이난 : http://blog.daum.net/topman515/572 나도풍란 : http://blog.daum.net/topman515/10 넓은잎잠자리난초 : http://blog.daum.net/topman515/229 광릉요강꽃 : http://blog.daum.net/topman515/483 대흥란 : http://blog.daum.net/topman515/385 붉은사철란 : http://.. 2021.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