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59

수선화[수선화과] 공원 화단에 수선화가 곱게 피었다 어느 작가는 수선화 없는 세상은 살맛이 없을 것이라 할 정도로 수선화를 좋아 했다는 일화도 있다. 샘동감 있고 화사한 수선화는 지중해가 원산인 알뿌리 식물이다 꽃말은 신비, 고결, 자존심 이라고 하는데 꽃과 잘 맞는 것 같다 2021. 3. 22.
둥근털제비꽃[제비꽃과] 3월 초순, 다른 제비꽃 보다 일찍 꽃이 피기 때문에 반가운 마음에 거의 매년 담아 오는 제비꽃이다연한 붉은색과 흰색의 2종류가 있으며 산자락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2021. 3. 21.
들현호색[현호색과] 들현호색은 뿌리에서 돋은 잎에 핏줄같은 붉은 줄이 있다.또한 다른 종류의 현호색은 꽃의 색이 여러 가지인데 들현호색은 붉은색의 꽃만 핀다.3~4월에 야산자락의 들에서 꽃이 피며 세력이 약하여 연약해 보인다   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1조선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6             https://topman515.tistory.com/1862들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3                   https://topman515.tistory.com/964  갈퀴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970              http.. 2021. 3. 21.
남산제비꽃 동네의 앞산을 보통 남산이라 부르고 야산자락에 흔히 피는 제비꽃 이라는 의미의 남산제비꽃이다남제비꽃은 흰색이거나 붉은색이 조금 섞인 것이 대부분인데 이곳의 남산제비꽃은 아주  고운 붉색이다 비교용 남산제비꽃. 거의 요런 색으로 꽃이 핀다 2021. 3. 21.
현호색[현호색과] 습기가 있는 곳을 좋아 하는 여러해 살이 플이며 변이가 심하여 종류도 많고 색도 흰색, 분홍색, 파란색 등의여러 색으로 핀다. 뿌리는 덩이줄기이며 덩이줄기는 진정작용이 아주 강한 약제로 사용한다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1조선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6             https://topman515.tistory.com/1862들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403                   https://topman515.tistory.com/964  갈퀴현호색 : https://topman515.tistory.com/970              https://topma.. 2021. 3. 20.
큰괭이밥[괭이밥과 괭이밥속] 산골짜기의 양지쪽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며 3~5월에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핀다.꽃은 1개씩 피며 붉은색이 도는 백색이고 잎은 긴 잎자루 끝에서 3개의 소엽이 옆으로 퍼진다식물체는 다른 괭이밥 종류와 같이 신맛이 나며 먹을 수 있고 잎을 옴이나 벌레에 쏘였을 때 바른다.괭이밥 : https://topman515.tistory.com/1068큰괭이밥 : https://topman515.tistory.com/400           https://topman515.tistory.com/149                : https://topman515.tistory.com/957        https://topman515.tistory.com/1839애기괭이밥 : https://topman5.. 2021. 3. 20.
서양민들레[국화과] 서양민들레는 토종민들레 보다 화경이 작고 꽃이 촘촘히 빼곡하게 피며 총포가 뒤로 젖혀진다. 붉은씨서양민들레 보다 잎의 결각이 부드러우며 등그런 화살촉 모양이고 씨앗이 누렇색이다. 총포가 뒤로 젖혀진다 잎의 결각이 붉은씨서양민들레 보다 부드럽다 씨앗은 누런색이다 민들레, 털민들레 : https://topman515.tistory.com/985 털민들레 : https://topman515.tistory.com/1843 흰민들레 : https://topman515.tistory.com/953 https://topman515.tistory.com/1840 흰노랑민들레 : https://topman515.tistory.com/986 https://topman515.tistory.com/1842 붉은씨서양민들레 :.. 2021. 3. 20.
노루귀[미나리아재비과] 이른 봄에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먼저피는 노루귀는 화경적을력이 뛰어나고 타가수절비율이 높아서사는 지역에 따라 꽃의 모양과 색이 많은 변이를 이르킨다.제주도 같이 척박한 곳에서는 작게 변이해서 새끼노루귀가 되고, 울릉도 같이 토양이 좋고 습기가 풍부한 곳에서는크고 상록성인 섬노루귀로 변이했다.키가 작고 연약해서 낙엽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노루귀 : https://topman515.tistory.com/398            https://topman515.tistory.com/107            : https://topman515.tistory.com/120                   https://topman515.tistory.com/928            .. 2021. 3. 19.
붉은씨서양민들레[국화과] 서양민들레는 "서양민들레"와 "붉은씨서양민들레"로 구분하는데 서양민들레는 씨앗이 누런 색이고 붉은씨서양민들레는 씨앗이 붉은색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잎의 모양도 조금 차이가 나는데 붉은씨서양민들레의 잎이 더욱 뾰족하여 화살촉처럼 생겼으며 우리가 흔히 보는 서양민들레는 거의 붉은씨서양민들레 이다. 민들레, 털민들레 : https://topman515.tistory.com/985 털민들레 : https://topman515.tistory.com/1843 흰민들레 : https://topman515.tistory.com/953 https://topman515.tistory.com/1840 흰노랑민들레 : https://topman515.tistory.com/986 https://topman515.tistory.. 2021. 3. 19.
큰개불알꽃[현삼과] 유럽원산의 두 해살이 풀로서 이른 봄(2~4월)에 양지바른 곳에서 하늘색의 꽃이 핀다.큰개불알풀이라는 이름은 개불알풀 종류(개불알풀, 큰개불알풀, 선개불알풀, 좀개불알풀, 눈개불알풀)의 열매의 모양이개의 불알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다른 이름으로 봄까치깨라고 부른다.유럽에서는 이 꽃의 수술2개가 새의 눈 처럼 보인다 하여 새의 눈(Bird's eye}이라고 부른다.또 다른 별칭으로 "큰지금"이 있는데 '지금'에 '큰" 자를 붙였으며 지금은 하자로 地錦 즉 땅위의 비단이라는 뜻이다 개불알풀, 선개불알풀, 눈개불알풀, 큰개불알풀 비교 : https://topman515.tistory.com/72개불알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438눈개불알풀 : https://.. 2021. 3. 19.
붉은색산자고[백합과] 백록 색 꽃이 피는 일반 산자고와 다르게 이곳의 산자고는 붉은색의 꽃이 핀다. 전체적인 모습은 같은데 붉은색의 꽃이 피는 것은 지역적인 토양이나 기후의 영향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산자고 : http://blog.daum.net/topman515/126. http://blog.daum.net/topman515/394 : https://blog.daum.net/topman515/941 붉은색산자고 : http://blog.daum.net/topman515/395 2021. 3. 17.
산자고[백합과] 올 해는 전국의 진사들이 이 곳의 산자고를 담으려 많이 온 것같다. 무더기로 풍성하게 핀 산자고가 수난을 격는 것이 안타깝기만 하다. 부디 모두 조심해서 아름다운 모습이 보전되기를 희망해 본다 산자고 : http://blog.daum.net/topman515/126. http://blog.daum.net/topman515/394 : https://blog.daum.net/topman515/941 붉은색산자고 : http://blog.daum.net/topman515/395 2021.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