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59

땅빈대 [대극과 대극속] 땅빈대 종류는 땅빈대, 애기당빈대, 큰땅빈대와 최근에 발표된 누운땅빈대의 4종이 있는데땅빈대는 잎과 줄기에는 털이 있으나 열매에는 털이 없고 잎에 검은 반점이 없어서 구분이 된다.8~9월에 아주 작은 꽃이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열매에는 3개의 능선이 있다 땅빈대 : https://topman515.tistory.com/625애기땅빈대 : https://topman515.tistory.com/628누운땅빈대 : https://topman515.tistory.com/2184큰땅빈대 : https://topman515.tistory.com/631 2021. 9. 6.
봉선화 [봉선화과 물봉선속] 우리 세대가 자랄 때는 집집마다 화단이나 마당 한편에 몇 그루씩의 봉선화를 심었었다.여름부터 가을 까지 피는 봉선화 꽃잎을 따서 소금을 조금 넣고 으깨서 손톱에 물을 드리던 엄니와 막내 고모가생각난다. 울 밑에선 봉선화야 네 모양이 처량하다~~ 이 노래도 참 많이 불렀는데..옛날을 생각하며 문경의 사과나무 밭둑에서 담다.봉선화 : https://topman515.tistory.com/624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646                            https://topman515.tistory.com/2244가야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634노랑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 2021. 9. 6.
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방동사닌는 작은이삭(소수)이 줄기에 직각에 가깝게 달리며 까락이 있으나뒤로 젖혀저서 잘 보이지 않는다.인편의 비늘조각 끝이 날카롭개 뾰족하여 금방동사니,  참방동사니와 구분이 된다소수가 직각에 가깝에 붙으며 비늘조각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다.열매는 타원으로 동글동글한 삼릉형이다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623금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622참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621알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712갯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690드렁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8.. 2021. 9. 5.
금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금방동사니는 방동사니나 참븡동사니 보다 작은이삭{소수}가 크고 많이 달린다.열매의 색이 황색이라서 전체적으로 노랗게 보이며 인편에 까락이 없다.비늘조각의 끝은 뾰족하지만 방동사니 보다는 덜 뾰족하고 줄기에 작은이삭(소수)이 45~90도 각도로 활짝 벌려서 달린다 소수가 방동사니나 참방동사니 보다 크고 많이 달린다작은줄기가 줄기에 45~90도로 벌려서 달린다열매는 길쭉한 타원으로 삼릉형이다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623금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622참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621알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712갯방동사니 : https://t.. 2021. 9. 5.
참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방동사니속 식물 중 방동사니, 금방동사니, 참방동사니는 모양이 비슷하여 부분이 어렵다.이삭 인편의 비늘조각에 붙은 까락의 유무와 모양, 인편의 생김새와 소수의 모양으로 보통 구분 한다.참방동사니는 열매의 인편에 까락이 있으며(작아서 잘 보이지 않음) 인편 비늘조각의 끝이 뭉툭하다(인편 비늘조각 끝의 날카로운 정도는 방동사니- 근방동사니- 참방동사니 순이다)작은이삭(소수)은 줄기에 비스듬히 모여달리고 아래쪽 소수가 밑으로 처지는 경향이 있다남부지방에는 참방동사니와 금방동사니가 많고 북부지방에는 방동사니가 많다소수가 줄기에 바스듬히 모여 달리고 비늘조각의 끝이 둔하다줄기 아랴부분의 소수그 밑으로 처진다 열매는 태원형으로 납작한 삼릉형이다 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62.. 2021. 9. 5.
구름병아리난초 [난초과 구름병아리난초속]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멸종위기 2급 식물이다.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 가야산 등의 높은 산 침엽수림에서살며 8월에 보라색의 꽃이 핀다. 관상을 목적으로 무분별하게 채취하여 보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며멸종위기 범주인 취약종으로 평가 된다.잎에 검은 점이 있는 구름병라리난초를 점박이구름병아리난초로 별도 구분한다 점박이구름벼아리난초로 잎에 검은 점이 있다. 남획이 너무 심하여 거의 멸종단계이다병아리난초 : https://topman515.tistory.com/552                        https://topman515.tistory.com/2035구름병아리난초 : https://topman515.tistory.com/620                 https://topman51.. 2021. 9. 3.
들께풀 [꿀풀과 쥐깨풀속] 꽃을 봐서는 쥐깨풀과 들깨풀은 구분이 안 된다.사는 곳이나 키도 비슷하고 생김새도 거의 같은 모습이라서 식별이 안 된다. 가장 큰 차이 점은 잎의 톱니 수가 쥐깨풀은 4~6개 이고 들께풀은 6~13개로 많다.쥐깨풀처럼 양지바른 들에서 자라며 8~9월에 연한 자주색 꽃이 피며 들깨 향이 강하게 난다 들깨 : https://topman515.tistory.com/314소엽 : https://topman515.tistory.com/657쥐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616털쥐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643들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619산들깨 : https://topman515.tistory.com/.. 2021. 9. 3.
노루삼 [미나리아재비과 노루삼속] 산기슭, 산골짜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 높이 40~70cm 정도로 자란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8~9월에 검붉은 색으로 익는다. ** 비슷한 촛대승마 보다는 키가 작고 줄기 아래부분에 비늘줄기가 있는 것과 열매가 검붉은 색으로 이으므로 구분된다 2021. 9. 3.
노랑물봉선[봉선화과 물봉선속] 제주를 제외한 전국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며 물봉선속 식물 중 유일하게 노란색 꽃이 핀다노랑물봉선의 변이 종으로 미색의 꽃이 피는 미색물봉선이 있다.봉선화 : https://topman515.tistory.com/624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646                            https://topman515.tistory.com/2244가야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634노랑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617미색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51처진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53꼬마물봉선 : https:.. 2021. 9. 2.
쥐깨풀 [꿀풀과 쥐깨풀속] 양지바른 들녘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러서 줄기는 네모지며 높이는 20~50cm 정도이다잎은 마주나기이며 가장자리에 4~6개의 톱니가 있다.꽃은 7~9월에 홍자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의 총상꽃차례에 2개씩 마주 달린다비슷한 식물로 들깨풀이 있는데 들깨풀은 잎의 결각(톱니)이 6~13개로 더 많아서 구분된다들깨 : https://topman515.tistory.com/314소엽 : https://topman515.tistory.com/657쥐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616털쥐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643들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619산들깨 : https://topman515.tistory.com/.. 2021. 9. 2.
미국실새삼[ 메꽃과 새삼속] 실새삼속 식물은 실새삼, 갯실새삼, 미국실새삼이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이 미국실새삼이다.북아메리카가 원산인 귀화식물이며 산자락과 들판에 자라며 다른 식물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기생식물이다.싹이 돋을 때는 뿌리에서 줄기가 나오지만 다른 식물을 감고 올라가 숙주식물의 영양으로 살게 되면 뿌리에서 분리되어뿌리 없이 살아가는 기생식물이다. 당연히 잎이 없다.미국실새삼이 특징은 꽃잎의 끝이 뾰족하고 꽃잎이 뒤로 젖혀지며 수술의 길이가 꽃잎과 비슷하고 열매가 화통 밖으로1/2쯤 나온다. 또한 콩과 식물에만 기생하는 실새삼과 다르게 아무 식물에나 기생한다새삼 : https://topman515.tistory.com/706                          https://topman51.. 2021. 9. 2.
분홍바늘꽃 [바늘꼭과 분홍바늘꽃속] 높은 산의 양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땅속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큰 군락을 형성한다.줄기는 곧추서며 굵고 높이 50~150cm 정도 자란다.꽃은 8~9월에 붉은 보라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많은 꽃이 달린다. 북방계 식물이다.바늘꽃 : https://topman515.tistory.com/1815돌바늘꽃 : https://topman515.tistory.com/2134분홍바늘꽃 : https://topman515.tistory.com/614            https://topman515.tistory.com/2100큰바늘꽃 : https://topman515.tistory.com/2193 2021.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