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59

꽃쥐손이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고산지역의 산 중턱 이상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쥐손이풀 종류 중에서 가장 예쁘다고 꽃쥐손이라는 이름이붙었다. 잎은 원형이며 4~7개로 갈라지는데 표면과 뒷면에 털이 있다.꽃은 7~8월에 홍자색의 큰 꽃이 피은데 원줄기 끝에 10개 내외의 꽃이 달린다쥐손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556이질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37둥근이질풀 : https://topman515.tistory.com/584사국이질풀 : https://topman515.tistory.com/860선이질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108꽃쥐손이 : https://topman515.tistory.com/589세잎쥐손이 : https.. 2021. 8. 19.
미국쥐손이 [귀손이풀과 쥐손이풀속] 북미원산의 귀화식물로 남부지방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에 연한털이 있다.잎은 심장형이며 5~9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이 다시 3개로 갈라진다꽃은 5~8월에 연한홍색으로 핀다쥐손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556이질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37둥근이질풀 : https://topman515.tistory.com/584사국이질풀 : https://topman515.tistory.com/860선이질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108꽃쥐손이 : https://topman515.tistory.com/589세잎쥐손이 : https://topman515.tistory.com/601            htt.. 2021. 8. 19.
섬자리공 [자리공과 자리공속] 울릉도와 남쪽 섬에 드물게 자라는 섬자리공은 자리공과 아주 흡사하다. 다만 바람이 강한 바닷가에 자라기 때문에 식물체가 크고 튼튼하며 잎도 두텁고 크다. 울릉도의 특산식물이며 5~7월에 연한 홍색의 꽃이 피고 장과는 검붉은 색으로 익는다 2021. 8. 18.
자리공 [자리공과 자리공속] 미국자리공은 열매가 익을 때 꽃대가 옆으로 눞는데 자리공은 꼿꼿이 선채로 열매가 익는다 키가 50~100cm 정도로 미국자리공보다 작으며 산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독이 있는 식물로 특히 뿌리는 크게 자라며 사약으로 사용했을 정도로 독성이 강하다 꽃은 5~7월에 백색 또는 연한 홍색으로 피는데 꽃차레는 곧추서고 열매는 8개가 서로 연결되어 1개의 장과와 비슷하게 되며 자주색으로 익는다 2021. 8. 18.
미국자리공 [자리공과 자리공속] 북아메리카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키가 100~150cm 정도 자라며 독이 있는 뿌리는 크고 굵다. 5~7월에 흰색의 꽃이 피고 붉은 빛이 도는 검은 장과가 열린다. 열매는 염료로 쓰이고 어린 싹은 나물로 먹는다. 미국자리공은 자리공과 섬자리공과 다르게 열매가 익을 때 옆으로 눞는 특징이 있다 미국자리공은 열매가 옆으로 처지며 검붉은 색으로 익는다 2021. 8. 18.
둥근이질풀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등의 높은 산과 경기 이북에서 자라는 고산성 여러해살이 풀이다.꽃은 7~8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고 원줄기 끝에 3~5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쥐손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556이질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37둥근이질풀 : https://topman515.tistory.com/584사국이질풀 : https://topman515.tistory.com/860선이질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108꽃쥐손이 : https://topman515.tistory.com/589세잎쥐손이 : https://topman515.tistory.com/601            https://t.. 2021. 8. 16.
물별이끼 [별이끼과 별이끼속] 이끼라는 이름이 붙지만 선태류가 아닌 한해살이풀이다. 주로 논, 연못, 얕은 물가에서 자라며줄기는 물 속에 잠기고 옆으로 벋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난다.꽃은 7~8월에 암수 한포기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마주보며 달리는데 흰색이며너무 작아서 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암꽃과 수꽃이 잎겨드랑이에서 마주보며 핀다 2021. 8. 16.
누운서리이끼[고깔바위이끼과] 생육지 : 주로 해발고도가 높은 산지의 양지바른 바위 또는 땅 위에 모여 자란다 형태 : 황록색이며 윤기가 난다. 줄기 넢이는 3~8cm 이고 누워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암수 딴 그루이고 삭은 장난형이고 곧추선다. 국내분포 ; 지리산, 북한산, 덕유산, 한라산 등 2021. 8. 16.
순비기나무 [마편초과] 중남부 바닷가 및 섬의 모래밭 위로 줄기를 길게 뻗으면서 자라는 잎지는 덩굴나무다.바람에 날린 모래가 줄기를 모래땅에 묻어버리기도하는데 그 모습이 모래 속에 숨어서 뻗어나가는 듯하여 붙은'숨벋기나무' 란 이름이 변하여 순비기나무가 되었다.순비기나무의 열매를 만형자(蔓荊子)라고 하여 두통약으로 쓰이는데 해녀들이 두통 약으로 사용했다고 한다7~8월에 남색의 꽃이 피는데 향기가 진하다.마편초 : https://topman515.tistory.com/2013순비기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580좀목형 : https://topman515.tistory.com/636            https://topman515.tistory.com/2113 2021. 8. 15.
뜰보리수 [보리수나무과] 뜰에 흔히 심는 보리수나무란 뜻의 이름이다 일본이 원산이며 열매가 우리 보리수나무보다 훨씬 굵고 크며 익는 시기도 가을이 아닌 늦봄에서 초여름이다 2021. 8. 15.
솜다리 [국화과 솜다리속] 소백산 이북의 높은 산 숲 또는 바위틈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7~9월에 회백색의 꽃이 핀다.꽃은 잡성화로 여러 송이가 원줄기 끝에서 산형(우산모양)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산솜다리, 설악솜다리 : http://blog.daum.net/topman515/241솜다리 : https://topman515.tistory.com/578산솜다리 : https://topman515.tistory.com/1465            https://topman515.tistory.com/1951 2021. 8. 13.
백겨자[배추과] 강원도 태백, 삼척 등지의 고랭지 배추밭에 한 해는 배추를 심고, 다음 해는 백겨자를 심어서 갈아엎어 퇴비로 시용히면병충해가 적다고 한다. 백겨자는 북아프리카(지중해)가 원산인 한 해살이 풀이며 잎은 쌈채소로, 씨는 향신료로 사용한다. 줄기가 붉은 적겨자와 다르게 줄기가 녹색이며 7월에 노란 색의 꽃이 핀다. 2021.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