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59

즐거운 추석 보내세요 오곡백과가 풍성하게 익어가고 온 가족이 모이는 추석명절, 즐겁고 보람되게 보내세요. 2021. 9. 20.
투구꽃[미나리아재비과 초오속] 해발 400m 이상의 산지 계곡과 능선에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 80~10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3~5개로 갚게 갈라지고 갈라진 끝이 뾰족하다. 9월에 투구 모양의 보라색 꽃이 피는데 꽃받침은 5장이며 꽃잎처럼 보인다. 꽃잎은 2장으로 위쪽 꽃받침 속에 있으며 꿀샘으로 된다. 열매는 골돌과 5개의 골돌이 있다. 사약으로 사용될 정도의 맹독성이며 한방에서 뿌리를 약으로 사용한다 투구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335 https://blog.daum.net/topman515/660 흰투구꽃(개마투구꽃) : https://topman515.tistory.com/1220 세뿔투구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780 지리바꽃 : .. 2021. 9. 19.
쇠무릎[비름과 쇠무릎속] 우슬이라는 약재로 더 알려진 쇠무릎은 산, 들, 농경지 주변에서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100cm 이도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다 불룩해진다. 꽃은 8~9월에 녹색으로 피고 열매는 9월에 익는데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어 옷이나 짐승의 털에 잘 붙는다. 어린잎을 식용하며 뿌리를 우슬이라 하여 관절약으로 사용한다 2021. 9. 19.
참취[국화과 참취속] 꽃보다는 나물로 인기가 많은 참취는 산지의 그늘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어린잎은 나무로 먹으며 전체를 약으로 사용한다. 우리나라 전 지역에 자라며 재배로 많이 한다.참취 : https://topman515.tistory.com/658개미취 : https://topman515.tistory.com/337                  https://topman515.tistory.com/1188            : https://topman515.tistory.com/2222갯개미취 : https://topman515.tistory.com/338              https://topman515.tistory.com/753벌개미취 : https://topman515.tistory.com/298.. 2021. 9. 19.
야생소엽[꿀풀과 들깨속] 차즈기 또는 차조기라고도 부르며 밭에 심어 기르던 것이 야생화하여 들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식물체 전체가 짙은 자주색으로 줄기는 네모지고 높이 20~80cm로 연한 털이 있으며 들깨 향이 강하게 난다.꽃은 8~9월에 자주색으로 핀다.잎을 식용하고 방부재로도 쓸 수 있으며 씨는 기름을 짜서 식용하거나 약재로 쓴다들깨 : https://topman515.tistory.com/314소엽 : https://topman515.tistory.com/657쥐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616털쥐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643들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619산들깨 : https://topman515.tist.. 2021. 9. 18.
둥근잎나팔꽃[메꽃과 고구마속] 잎이 둥근 심장형이라서 둥근잎나팔꽃이다. 나팔꽃은 잎이 세 개로 갈라진 손바닥 모양이라 구분이 된다. 꽃은 7~10월에 자주색 또는 청색으로 피며 나팔꽃 종류 중에 꽃이 제일 크다. 메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1039 https://topman515.tistory.com/1572 애기메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1064 갯메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510 선메꽃 : https://topman515.tistory.com/1119 나팔꽃 모음 : http://blog.daum.net/topman515/95 둥근잎나팔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656 애기나팔.. 2021. 9. 18.
어저귀[아욱과 어저귀속] 인도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섬유작물로 한 때 밭에서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하여 경작지 주변이나 빈 터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높이는 약 1.5m로 자라며 전체에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난 긴 꽃대에 달리며 노란색이다 열매는 삭과로 9~10월에 익고 씨앗은 납작한 멍에 모양으로 검은색이다. 전초를 약으로, 줄기를 섬유재로 이용한다. 어저귀 : https://blog.daum.net/topman515/655 나도어저귀 : https://blog.daum.net/topman515/853 2021. 9. 18.
민구와말[현삼과 구와말속] 중부 이남의 논이나 얕은 못의 물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수생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진흙 속으로 뻗으며 줄기는 높이 10~30cm 정도로 자라며 붉은색이 돈다. 꽃은 8~9월에 잎 겨드랑이에 1개씩 달려 홍자색으로 핀다. 민구와말 : https://topman515.tistory.com/1226 https://topman515.tistory.com/654 : https://topman515.tistory.com/1706 2021. 9. 17.
달맞이꽃[바늘꽃과 달맞이꽃속] 길가에서부터 높은 산의 정상부까지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겨울을 로젯 형태의 잎으로 나고 봄부터 가을 까지 노란색 꽃이 피는데 꽃은 밤에 피었다가 오전에 시들기 때문에 달맞이꽃이라 부른다. 남쪽 자방에는 꽃이 훨씬 더 큰 큰달맞이 꽃이 있다. 남미가 원산지이며 전 세계에 분포한다 달맞이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653 애기달맞이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766 큰달맞이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232 2021. 9. 17.
백일홍[국화과 백일홍속] 꽃이 백일동안 핀다고 백일홍이라 부르는 이 꽃은 무척이나 친숙한 꽃이지만 원산지가 맥시코인 귀화식물이다 아무곳에서나 잘 자라서 화단이나 공원 등에 많이 심는 토착식물이 되어 버렸다 2021. 9. 17.
지리바꽃[미나리아재비과 초오속] 초오속 식물은 뿌리가 검은 색이며 독성이 강한 특성이 있는데 투구꽃, 바꽃, 놋젖가락 등으로 분류된다 지리바꽃은 큰 산의 숲속 사면이나 계곡 주위의 그늘에서 자란다. 지리산과 강원 이북에 주로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높이는 30~80cm 정도이고 뿌리는 검은 빛을 띤 갈색이며 마늘처럼 굵고 육질이며 땅속으로 깊이 들어간다. 잎이 5~7개로 가늘게 갈라지며 갈라진 가장자리는 깊게 파이고 뾰족한 톱니가 있어서 투구꽃과 구분된다. 꽃은 7~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며 열매는 3개의 골돌과 이다. 열매는 3개의 골돌과(투구꽃은 5개의 골돌) 이며 털이 많다 투구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335 https://blog.daum.net/topman515/660 흰투구꽃(개마.. 2021. 9. 16.
다도해비비추[백합과 비비추속] 해안가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가 땅 위를 기면서 자란다.꽃줄기는 30~60cm이며 곧추 자란다. 8~9월에 1~20개의 꽃이 각각의 꽃대에 달리며 흰색을 띠는 보라색이다.우리나라 남해안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비비추 : https://topman515.tistory.com/711일월비비추 : https://topman515.tistory.com/22             https://topman515.tistory.com/575금강비비추 : https://topman515.tistory.com/1323다도해비비추 : https://topman515.tistory.com/650좀비비추 : https://topman515.tistory.com/2395옥잠화 : https://topman5.. 2021.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