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59 이삭여뀌[마디풀과 여뀌속] 산지의 숲속, 숲 가장자래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 길이는 50~80cm 정도로 이고 잎은 어긋나며 넓은타원형으로 표면에 검은 반점이 있다. 꽃은 7~9월에 이삭꽃차레에 달리며 붉은색이가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667가시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750 개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751 https://topman515.tistory.com/1647개여뀌(흰색) : https://topman515.tistory.com/752꽃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2259끈끈이여뀌 : https://topman515.tis.. 2021. 9. 11. 좀목형[마편초과 순비기나무속] 남부지방과 경기도 지역의 산기슭 바위지대에 자라는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가늘고 많이 갈라지며 높이 2~3m이고 잎은 마주나며 작은 잎 4~5장으로 된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꽃은 7~9월에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다.거담, 진해, 진통작용이 있어 해소와 천식, 복통약으로 유용하게 이용된다마편초 : https://topman515.tistory.com/2013순비기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580좀목형 : https://topman515.tistory.com/636 https://topman515.tistory.com/2113 2021. 9. 11. 구름체꽃[산토끼꽃과] 산토끼과 식물은 체꽃, 솔체꽃, 구름체꽃, 만둥체꽃이 있는데 구름체꽃은 꽃받침의 지침이 꽃잎보다길어서 꽃잎 밖으로 나오며 솔체꽃과 다르게 뿌리잎이 꽃이 필 때 까지 남아 있는 특징이 있다제주도와 특정 지역 높은 산 풀밭에서 자라며 7~8월에 하늘색 꽃이 핀다. 솔체 : https://blog.daum.net/topman515/611 https://topman515.tistory.com/1199 구름체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635체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665 2021. 9. 9. 가야물봉선[봉선화과 물봉선속] 다른 물봉선 보다 키도 작고 꽃도 작은 소형 몰봉선이며 검붉은 자주색 꽃이 핀다.산지의 습한 곳에서 자라며 키는 20cm 내외로 작으며 줄기가 곧고 붉은색을 띠며 볼록한 마디가 있다.꽃은 8~9월에 피며 꽃대에 붉은색 가시가 있다.가야물봉선 이름이지만 덕유산, 지리산 등에서도 볼 수 있다봉선화 : https://topman515.tistory.com/624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646 https://topman515.tistory.com/2244가야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634노랑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617미색물봉선 : https:/.. 2021. 9. 9. 각시그령[벼과 참새그령속] 경작지 주변 습한 곳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모여 나며 높이20~100cm이고 3~4개의 마디가 있다 그령속 식물 중에서 소수(작은이삭)가 상대적으로 작고 뿌리근처에서 꽃대가 나오며 소수의 색이 붉은 특징이 있다 그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883 수크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769 붉은수크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673 청수크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613 각시그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633 2021. 9. 9. 뚱단지[국화과 해바라기속] 흔히 돼지감자라고 부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50~200cm로 자라고 덩이줄기가 발달하는데 이 덩이줄기를 약으로 사용한다. 사료용으로 도입된 귀화 식물인데 재배하거나 야생화 되어 들녘에서 가을의 정취를 느끼게 한다 2021. 9. 8. 큰땅빈대[대극과 대극속] 땅빈대나 애기땅빈대보다 키가 훌쩍 커서 큰땅빈대이다.식물체 전체에 털이 없으며 7~9월에 흰색의 꽃이 피고 열매 3개의 능선이 있다땅빈대 : https://topman515.tistory.com/625애기땅빈대 : https://topman515.tistory.com/628누운땅빈대 : https://topman515.tistory.com/2184큰땅빈대 : https://topman515.tistory.com/631 2021. 9. 8. 천일홍[비름과 천일홍속] 꽃색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는다 하여 천일홍이라 하는 열대 원산의 한해살이풀이다. 꽃이 오래 피고 색이 고와서 화단과 정원에 많이 심으며 한방에서는 천일처, 천금홍이라 하여 김침, 가래, 이질 등에 사용한다. 2021. 9. 8. 민솜방망이[국화과 산솜방망이속] 고산지대 물기가 많은 풀밭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는 30 ~ 100cm 정도이며 네모지며 털이 거의 없다. 꽃은 7~9월에 줄기 끝에 모리 모양으로 2~10개가 우산살 처럼 달리며 붉은색이 도는 노란색이다. 가장자리에 늘어진 혀 꽃이 피고 안쪽에 관모양의 꽃이 핀다 강원도 이북의 산속 물기 많은 곳에서 피며 산솜방망이와 아주 흡사하나 잎에 털이 없는 점이 다르다. 솜나물 :https://topman515.tistory.com/426 https://topman515.tistory.com/1345 바위솜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1057 자주솜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806 풀솜나물 ; https://.. 2021. 9. 7. 애기땅빈대[대극과 대극속] 애기땅빈대는 잎에 까만색의 반점이 있어서 구분이 쉽게 된다.열매는 땅빈대와 다르게 흰색의 누운 털로 덮여 있다. 줄기와 잎자루에도 흰털이 있다하고 많은 땅을 마다하고 자갈밭이나 보도불럭 틈에서 자라는 이 꽃이 아주 유익하게 쓰이는 약초라 한다땅빈대 : https://topman515.tistory.com/625애기땅빈대 : https://topman515.tistory.com/628누운땅빈대 : https://topman515.tistory.com/2184큰땅빈대 : https://topman515.tistory.com/631 2021. 9. 7. 맨드라미[석죽과 맨드라미속} 고향집 장독대 옆에는 매년 매드라미랑 과꽃이 여름부터 가을까지 피어 있었다 엄니가 잡초도 뽑아주고 가물 땐 물도 주면서 잘 가꾼 덕에 햇빛이 잘 드는 장독대가 그림 같이 예뻤던 기억이 지워지지 않느다. 엄니도 그립고.. 길 옆 고구마 밭둑에 그리고 감나무 밑에서 담다. 2021. 9. 7. 금강초롱[초롱꽃과 금강초롱꽃속] 전 세계에서 우리 나라에만 있는 특산식물인 금강초롱의 학명이 Hanabusaya asiatica Nakai(하나부사야 나카이)로되어 있어 가슴 아프게 하는 꽃이다. 일제 강점기인 1911년에 일본인 식물학자가 초대 일본공사의 이름으로 발표하여참 듣기 거북스런 이름이 붙었다. 금강초롱꽃속 식물은 금강초롱, 흰금강초롱, 검산초롱꽃의 3종이 있는데 금강초롱과 흰금강초롱은 경기북부와강원도에서 볼 수 있으며 검산초롱꽃은 북한 지방에서 자라는 꽃인데 드물게 강원도에서도 발견되고 있다.금강초롱꽃의 꽃받침은 길쭉한 선형인데 검산초롱꽃은 꽃받침이 짧고 둥근모양이어서 구분된다.초롱꽃 : https://topman515.tistory.com/1060 https://topman515.tistory.. 2021. 9. 6. 이전 1 ···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