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59

벼(흑미)[벼과] 검정쌀은 거의 매끼 먹지만 벼를 보는 것은 처음이다. 껍질부터 검은색인 것이 새롭고 벼과 식물의 대표주자가 벼이니 몇 컷 담았다 가을 들녘은 벌써 추수가 한창이고 보는 것만으로도 배가 부르다. 흑미 : https://blog.daum.net/topman515/649 수크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769 붉은수크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673 청수크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613 개피 : https://blog.daum.net/topman515/609 물피 : https://blog.daum.net/topman515/764 2021. 9. 16.
등대시호[미나리과 시호속] 높은 산의 바위 겉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며 키는 8~12cm 정도로 자란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꽃잎은 자주색이나 적자색이며 정면이 안으로 굽어 있다. 멸종 위기 종이며 강원도 이북에서 자라지만 덕유산에서도 드물게 발견되는 한국의 고유종이다 시호 : https://topman515.tistory.com/1769 개시호 : https://topman515.tistory.com/1770 등대시호 : https://topman515.tistory.com/648 섬시호 : https://topman515.tistory.com/1779 2021. 9. 15.
가지금불초[국화과 금불초속] 햇빛이 잘 드는 산지 사면이나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00cm 정도이다. 꽃은 7~8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유사종으로 가는금불초, 가지금불초, 버들금불초와 제주의 바닷가에 자라는 갯금불초가 있다. 금불초 : https://topman515.tistory.com/1210 가지금불초 : https://topman515.tistory.com/647 https://topman515.tistory.com/1603 전의금불초 : https://topman515.tistory.com/1628 2021. 9. 15.
물봉선[봉선화과 물봉선속] 낮은 산지의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이 종은 자연 교잡이 심하여 색상과 크기가 여러 가지로 변이 되어 종류가 많다. 물봉선 종류로는 물봉선, 흰물봉선,노랑물봉선, 처진물봉선, 가야물봉선, 꼬마물봉선 등이 있으며 꽃은 8~9월에 홍자색으로 핀다봉선화 : https://topman515.tistory.com/624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646                            https://topman515.tistory.com/2244가야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634노랑물봉선 : https://topman515.tistory.com/617미색물봉선 : https://topman515.tist.. 2021. 9. 15.
뻐꾹나리[나리과 뻐꾹나리속] 중부 이남의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그늘진 음습지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이 꽃을 담을 때마다 모기와 전쟁을 벌려야 한다. 빛이 들어 오는 순간에 담으려고 모기와 한 판 싸우며 담다. 수술이 옆으로 휜 모양이 마치 꼴뚜기가 수영을 하는 것 같아서 나는 이 꽃을 산꼴뚜기라 부른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으며 꽃은 6~8월에 핀다. 뻐꾹나리 : https://topman515.tistory.com/276 https://topman515.tistory.com/645 https://topman515.tistory.com/1172 2021. 9. 14.
노란땅꽈리[가지과 꽈리속] 꽃을 봐서는 땅꽈리와 구분이 안 되게 비슷하게 생겼다자라는 곳도 들판의 풀밭으로 같고 꽃이 피는 시기도 6~9월로 비슷하다.가장 큰 차이는 노란땅꽈리의 잎은 깊은 결각이 있으며 열매에 자주색 선이 있는 점이다.열매를 쥬스로 먹는다는데 먹어 본 적은 없다노란땅꽈리의 잎에는 깊은 결각이 있다노란땅꽈리의 열매에는 자주색 줄이 선명하다꽈리 : https://topman515.tistory.com/248땅꽈리 : https://topman515.tistory.com/643노란땅꽈리 : https://topman515.tistory.com/644가시꽈리 : https://topman515.tistory.com/2075페루꽈리 : https://topman515.tistory.com/2313 2021. 9. 14.
땅꽈리[가지과 꽈리속]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들에서 자란는 한해살이풀이다키는 30~ 50cm 정도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열매가 익으면 빨갛게 변하는 꽈리와 다르게 열매가 색이 변하지 않고 녹색으로 익는다. 꽃은 7~9월에 노란색으로 피는 안쪽에 진한 황색 반점이 있고 꽃밥은 자주색이다.유사종으로 노란땅꽈리가 있는데 잎에 깊은 결각이 있고 꽃 안의 반점이 연한 황색이며 열매에 자주색 선이 뚜렸하여구분된다.땅꽈리는 잎에 결각이 없거나 약한 결각이 있다땅꽈리의 열매에는 자주색 줄이 없다땅꽈리와 노란땅꽈리 열매 비교꽈리 : https://topman515.tistory.com/248땅꽈리 : https://topman515.tistory.com/643노란땅꽈리 : https://topman515.tistory.co.. 2021. 9. 14.
배초향[꿀풀과 배초향속] 산지 숲 가장자리 및 햇빛이 잘 드는 돌이 많은 곳에서 높이 40~100cm 정도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9월에 자주색으로 피는데 가지와 줄기 끝에 입술 모양의 윤산 꽃차레로 달린다 향기가 진하며 남쪽 지방에서는 방앗잎이라 하여 향신료로 사용한다. 꽃의 모양이 비슷한 향유속의 꽃차레는 축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붙고 포가 둥근 부채모양이며 꽃에 긴 털이 많은 점에서 이 종과 구별된다. 2021. 9. 13.
새며느리밥풀[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 산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서 줄기가 곧추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 지고 높이 50cm쯤 이다 꽃은 8~9월에 자주색으로 무리지어 핀다. 애기며느리밥풀의 변종으로 보며 기본종인 애기벼느리밥풀보다 잎이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폭이 넓어 구분된다. 꽃며느리밥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736 새며느리밥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641 애기며느리밥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710 긴꽃며느리밥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747 2021. 9. 12.
좀돌팥[콩과 동부속] 노란색 꽃이 피며 덩굴식물인 새팥과 좀돌팥은 꽃과 꼬투리가 아주 비슷한 모양이라서 구분하기 쉽지 않다좀돌팥은 3출엽의 잎이 긴쭉한 피침형 또는 동그스름한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결각이 없다.또한 꽃받침이 포보다 길고 열매가 새팥보가 크며 종자의 배꼽인 제(흰색 줄)는 도드라지게 튀어 나와서 구분이 된다. 종자의 배꼽인 제가 도드라지게 튀어 나왔다꽃받침이 포보다 조금 길다붉은완두 : https://topman515.tistory.com/858동부 : https://topman515.tistory.com/898돌동부 : https://topman515.tistory.com/2400좀돌팥 : https://topman515.tistory.com/640                    https://topman5.. 2021. 9. 12.
송이풀[현삼과 송이풀속] 높은 산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곧게 자라고 높이 40~60cm이다 꽃은 8~9월에 붉은 보라색으로 핀다. 유사 종으로 흰송이풀, 만주송이풀, 구름송이풀 등이 있다. 2021. 9. 12.
긴화살여뀌[마디풀과 여뀌속] 산지의 숲속에 키가 30~50cm 가량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원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기고 일부에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잎은 화살모양의 긴 타원형이고  잎자루는짧고 잎집 모양의 턱잎은 짧으며 긴털이 있다. 꽃은 9~10월에 붉은색이 도는 녹색으로 핀다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667가시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750             개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751             https://topman515.tistory.com/1647개여뀌(흰색) : https://topman515.tistory.com/752꽃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 2021.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