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59

개쑥부쟁이[국화과 참취속] 가을에 피는 국화과 꽃을 들국화라 부르는데 개쑥부쟁이도 그중의 하나이다.여러해살이풀이며 뿌리나 종자로 번식한다. 산지에서 자라며 원줄기는 높이 40~80cm 정도이고 가지가 많이갈라진다. 8~9월에 피는 머리 모양의 꽃은 백색 또는 남자색으로 총포는 3줄로 배열되고 선상 피침형으로 털이 있으며관모는 담자색이다. 높은 산의 건조하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며 어린싹은 나물로 먹는다  총포는 3줄로 배열되고 선상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관모는 담자색이다.총포관모 쑥부쟁이 : https://topman515.tistory.com/362개쑥부쟁이 : https://topman515.tistory.com/363            https://topman515.tistory.com/674 가새쑥부쟁이 : ht.. 2021. 9. 25.
붉은수크령[벼과 수크령속] 수크령 중에서 소수(작은이삭) 끝에 2.5~3.0cm의 붉은 색의 털이 있는 것을 붉은수크령이라 부른다 그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883 수크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769 붉은수크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673 청수크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613 각시그령 : https://blog.daum.net/topman515/633 2021. 9. 25.
애기수영[마디풀과 소리쟁이속] 길가, 황무지, 풀밭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땅속줄기가 벋으며 번식한다.줄기는 높이 20~50cm로 세로 능선이 있다.뿌리잎은 창 모양이고 줄기잎은 긴타원형으로 아래쪽이 창 모양이다꽃은 5~6월에 암수가 다른 포기에서 붉은 녹색으로 피는데 꽃잎은 없고붉은 색의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인다  암꽃은 아주 작으며 흰색의 암술머리가 잘개 갈라지고,수꽃은 황록색의 수술이 6개이며 밑으로 처진다.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퍼진 생태계 교란식물이다. 애기수영 수꽃 : 6개의 수술이 밑으로 처진다. 애기수영 암꽃 : 흰색의 암술머리가 잘개 갈라진다 어린잎은 창모양이며 신맛이 난다. 소리쟁이 : https://topman515.tistory.com/2012돌소리쟁이 : https://topman.. 2021. 9. 25.
수영[마디풀과 소리쟁이속] 산과 들에 흔히 자라는 수영은 암수가 딴 그루인 여러해살이풀이다.줄기는 높이 30~8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서고 원주형이며 줄이 있고 녹색 또는 홍자색을 띤다. 꽃은 5~6월에 붉은 및이 도는 녹색으로 피는데 암꽃과 수꽃이 다른 그루에서 피며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6개이다.암꽃은 3개의 암술대가 있으며 잘게 갈라진 암술머리는 홍자색을 띤다.수꽃은 수술이 6개이고 황갈색이며 밑으로 처진다.꽃이 진 다음 6개의 꽃받침 중 안쪽의 3개가 둥글게 되어 열매를 둘러싼다.비슷한 식물로 개대황이 있는데 개대황은 암수가 한 그루인 점에서 구분된다. (수영의 암꽃이다. 잘개 갈라진 암술머리가 홍자색이라서 붉은 꽃처럼 보인다) (수영의 수꽃. 6개의 수술이 밑으로 처진다) 열매처럼 보이는 것은 꽃받침이 둥글게 씨앗을 싸고.. 2021. 9. 24.
산딸나무[층층나무과] 자생지의 환경에 따라 황록색 또는 흰색의 꽃이 피는 산딸나무는 꽃잎처럼 보이는 총포가 모여 꽃을 만든다. 가을에 빨갛게 익는 열매는 여러 개의 암술이 붙어서 만들어진 집합과(集合果)라 하여 우리가 먹는 풀 딸기와 같이 통열매를 달고 있다. 반면에 산딸기를 비롯한 나무 딸기는 작은 알갱이가 알알이 모여 하나의 열매를 만든다. '산속에 사는 나무인데 풀 딸기와 닮은 열매가 달리는 나무' 란 뜻으로 산딸나무란 이름이 붙었다 익은 열매는 먹을 수 있다 2021. 9. 24.
쇠서나물[국화과 쇠서나물속] 산과 들에 자라는 두해살이 풀로서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50~100cm 정도 자란다. 꽃은 6~10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 여러 개가 달리며 진한 노란색부터 흰빛이 도는 노란색까지 색의 변이가 심하다 2021. 9. 24.
물여뀌[마디풀과 여뀌속] 못이나 수로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수생식물이다.원줄기는 물속에서 자라고 옆으로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털이 없다. 물 위의 줄기는 곧추서고 잎이 많이달린다. 잎은 어긋나기 이며 긴 타원형이다. 꽃은 8~9월에 붉은빛이 도는 흰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이삭 꽃차 레에 많은 꽃이 달린다. 서해의 섬에서 담다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667가시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750             개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751             https://topman515.tistory.com/1647개여뀌(흰색) : https://topman515.tistory.com/7.. 2021. 9. 23.
여뀌[마디풀과 여뀌속] 매운맛이 아주 강해서 혀에 닿으면 얼얼 해지는데 비슷하게 생긴 바보여뀌는매운맛이 없다고 바보여뀌라고 불린다.여뀌의 잎과 뿌리를 잦이겨서 물레 풀면 물고기가 기절해서 뜨기 때문에 어릴 때 물고기를 잡는데사용했으며 삶은 물로 진디기 같은 해충 박멸용으로 사용한다.꽃은 7~10월에 이삭꽃차례에 달리며 흰색으로 피고 밑으로 처진다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667가시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750             개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751             https://topman515.tistory.com/1647개여뀌(흰색) : https://topman515.tistory.com/.. 2021. 9. 23.
궁궁이[미나리과 당귀속] 산골짜기의 습기가 많은 물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키는 80~150cm이며 잎집에만 털이 있고뿌리잎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며 삼각상 넓은 난형이며 4회 3출 겹잎이다.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고 큰 겹 산형 꽃차레를 이룬다. 작은 산형꽃차레는 20~40개이다.왜천궁과 유사하지만 중앙 작은 잎의 잎자루가 뒤로 젖혀지지 않는 점에서 구분된다참당귀 : https://topman515.tistory.com/607                                 https://topman515.tistory.com/2221지리강활(개당귀) : https://topman515.tistory.com/2099궁궁이 : https://topman515.tistory.com/666         .. 2021. 9. 23.
체꽃[산토끼꽃과 솔체꽃속] 고도가 높은 산지의 능선부 근처의 햇빛이 잘 드는 전석지(석회암) 및 풀밭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로서 뿌리가 굵고 땅속 깊이 들어가거나 돌 틈을 비집고 들어 간다. 줄기는 높이 50~90cm 정도 이고 퍼진 털과 고부라진 털이 있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줄기잎은 마주나고 장타원형으로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은 8~9월에 하늘색으로 핀다. 기본종인 솔체꽃보다 키가 작고 잎이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져서 구분된다. 솔체 : https://blog.daum.net/topman515/611 https://topman515.tistory.com/1199 구름체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635 체꽃 : https://blog.daum.net/topman515/665 2021. 9. 22.
무릇[백합과 무릇속] 낮은 산의 양지바른 풀밭이나 산기슭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원줄기는 없고 비늘줄기는 난상 구형으로 붉은 색이 도는 흙갈색이고 수염뿌리가 내린다. 꽃은 7~9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며 어린싹과 비늘줄기는 식용한다 2021. 9. 22.
사마귀풀[닭의장풀과 사마귀풀속] 물기가 많은 논이나 늪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로서 줄기 아래쪽이 비스듬히 땅을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내리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는 연한 녹색이나 홍자색이 돈다.꽃은 8~9월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피며 연한 홍색이다.닭의장풀, 좀닭의장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82애기닭의장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83좀닭의장풀, 흰좀닭의장풀 : https://topman515.tistory.com/97덩굴닭의장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595고깔닭의장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622          https://topman515.tistory.com/224.. 2021.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