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59

족제비싸리 족제비는 날렵한 생김새에 긴 꼬리가 특징인데    이 나무의 꽃대가 족제비의 꼬리와 닮았고 잎사귀는 싸리 같다 하여 족제비싸리가 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나무를 수탈 해 간 자리에 심기위하여 북아메리카에서 속성수로 수입한 나무이다   싸리 : https://topman515.tistory.com/230                     https://topman515.tistory.com/228     괭이싸리 : https://topman515.tistory.com/344검나무싸리 : https://topman515.tistory.com/11참싸리 : https://topman515.tistory.com/231조록싸리 : https://topman515.tistory.com/1103털조록싸리 : .. 2020. 7. 9.
올방개[사초과 올방개속] 연못에서 군생하는 여러해 살이 풀로서 뿌리줄기가 길게 벋고 끝에 지름 5~8mm의 덩이줄기가 달리는데 이 덩이줄기로 묵을 만들어 먹는데 맛이 좋다고 한다 2020. 7. 9.
닭의난초[난초과 닭의난초속] 경기도 이남의 산골짝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난초이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기 때문에 군락을 이룬다.     6월에 고운 꽃을 피우며 씨방은 대가 있고 열매는 밑으로 처진다닭의난초 : https://topman515.tistory.com/214                       https://topman515.tistory.com/2014청닭의난초 : https://topman515.tistory.com/857갯청닭의난초 : https://topman515.tistory.com/2026 2020. 7. 6.
함박꽃나무[목련과] 함박꽃이란 이름의 뜻은 큰 바가지처럼 생긴 풍성한 꽃이라는 뜻이다. 풀 종류의 함박꽃은 작약이라는 이름로 불리며 한약재로 쓰인다. 함박꽃나무는 꽃이 함박꽃과 비슷하나 나무여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목련과도 닮아서 산에 자라는 목련'이라는 뜻으로 산목련으로도 부른다. 북한에서는 목란(木蘭)이라 하며 우리의 무궁화처럼 그들의 국화로 알려져 있다 목련 : http://blog.daum.net/topman515/417 자목련 : http://blog.daum.net/topman515/110 초령목 : https://topman515.tistory.com/1185 함박꽃나무 : http://blog.daum.net/topman515/212 http://blog.daum.net/topman515/489 2020. 7. 6.
솔나물 산자락에 흔하게 볼 수 있는 솔나물은 잎이 선형이고 끝이 뽀족하여 솔잎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8~10개의 잎이 돌려 난다. 2020. 7. 6.
송이고랭이[사초과 고랭이속] 물가에 자라는 송이고랭이는 꽃줄기가 예리한 삼릉형이고     밑부분에만 1~2개의 잎집이 있다. 꽃차례는 옆에 달리며 4~20개가 송이 모양으로 모여 달려서     송이고랭이라 한다 검정도루박이 : https://topman515.tistory.com/528세대가리 : https://topman515.tistory.com/286방울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288송이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210세모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2348좀송이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1962층층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2040큰고랭이 .. 2020. 7. 6.
호자덩굴[꼭두서니과] 충청이남 지역, 바닷가의 산지 그늘에서 자라는 상록다년초이다. 줄기가 땅으로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5월에 흰바탕에 붉은빛이 도는 꽃이 가지 끝에 2개씩 달린다. 비슷한 식물로 제주도와 남쪽 섬에 자라는 호자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의 가시가 호랑이 발톱처럽 날카롭다 하여 범호(虎)에 가시자(刺)를 써서 호자나무라고 부르는데 호자덩굴의 잎과 꽃이 호자나무와 흡사한 덩굴식물이라 하여 호자덩굴이 된 것으로 추정한다. 암꽃과 수꽃이 있으며 열매는 빨간색으로 익는다. [호자덩굴 암꽃] 암술이 3개로 갈라진다 [호자덩굴 수꽃] 수술이 4~6개 이며 밑부분에 퇴화한 암술이 있다 2020. 7. 1.
남개연[수련과] 남개연은 꽃이 핀 후에 꽃이 물에 잠기는데 그 이유가 무었일까?    사진쟁이들이 반영을 멋지게 담을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일까    남개연은 충매(蟲媒) 즉 곤충에 의해 수정하는 꽃이 아니고 물에 꽃가루를 흘려서     다른 꽃과 수정하기 때문에 꽃대를 밑으로 당겨서 꽃이 물에 잠기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수정하는 수생식물이 몇종류 있는데 대표적인 식물이 나사말이다.    여름에 나사말이 있는 냇가에 가보면 나사말의 꽃가루가 하얗게 물에 떠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각설하고 남개연은 우리가 흔히 꽃이라고 생각하는 노란꽃잎같이 생긴 것은 꽃받침이고 암술을    감싸고 있는 실타래 같은 것이 꽃잎이며 잎은 물에 뜨는 영양잎과 물에 잠기는 수중엽이 있고    열매는 장과로 물속에서 익는다 .. 2020. 7. 1.
족도리풀[쥐방울덩굴과 족도리속] 족도리풀 가족도 꽤나 복잡하다. 금오족도리풀, 개족도리풀, 털족도리풀, 무늬족도리풀, 각시족도리풀, 선운족도리풀, 족도리풀 등등.. 이 꽃은 그냥 족도리풀이다. 산지의 그늘에서 자라며 4~5월에 꽃이 피고 뿌리를 거담, 두통에 사용한다 족도리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207 https://blog.daum.net/topman515/449 : https://topman515.tistory.com/1442 각시족도리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893 개족도리 : https://blog.daum.net/topman515/1015 금오족도리 : https://topman515.tistory.com/1374 무늬족도리풀 : https://b.. 2020. 7. 1.
땅콩[콩과] 땅콩은 어떻게 땅속에 열매를 맺을까? 고구마나 감자 같은 뿌리채소와는 다르게 땅콩은 열매 즉 씨앗을 땅속에 맺는다 고구마는 덩이뿌리이고 감자는 지하 줄기가 덩이로 된 괴경(塊莖)이지 열매는 아니다. 즉 씨앗이 아니라는 것이다. 토란이나 무우 같은 뿌리 채소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땅콩은 수정된 씨앗을 땅속에 맺는다. 땅콩은 꽃이 피고 수정이 끝나면 꽃이 지면서 땅을 향해 암술머리가 길게 자라서 땅속으로 들어가 땅속에다 열매를 맺는다. 고소하고 영양이 풍부한 열매를 새, 동물, 곤충으로 부터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 땅속에다 열매를 맺도록 진화했를 것이라고 추측한다. 암술머리가 땅을 향해 자란다 길게 자란 암술머리가 땅속으로 들어간다 2020. 6. 30.
매화노루발[노루발과] 대개의 식물은 소나무 밑에서 살지 못하는데 난과 식물의 일부는 소나무 밑을 좋아한다.     발아 하는데 필요한 곰팡이가 솔잎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 추측을 하는데     난과 식물도 아닌 매화노루발도 소나무 밑에서 잘 자라는 식물 중의 하나이다.      올 해는 봄비가 잦은 탓에 매화노루발이 풍성하게 잘 자랐다노루발 : https://topman515.tistory.com/906매화노루발 : https://topman515.tistory.com/205             https://topman515.tistory.com/1516                   : https://topman515.tistory.com/2422분홍노루발 : https://topman515.tistory.com/921 2020. 6. 30.
나리난초 살펴보기 나리난초과 식물은 나리난초 계열과 옥잠난초 계열로 분류되는데                나리난초나 옥잠난초 계열의 난초는 꿀샘인 거(距}가 없다.                향기도 없고 꿀도 없기 때문에 곤충모양으로 진화해 수컷 곤충을 유인하여 수정하데                예주의 끝(주두)이 수정을 담당하는 곳이다. 나리난초 계열은 주두 끝이 뾰족하고                 옥잠나초 게열은 주두의 끝이 뭉툭하다                 예주 : 수정에 필요한 화분이 있는 부분으로 나리난초 계열난초는 예주(주두)가 뾰족하다                 순판 :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들어 갔으며 조금 휘어지거나 평평하게 펴진다                 꽃잎 : 실같이 가늘며 2개이고 밑으로.. 2020.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