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59 백령풀[꼭두서니과] 미국에서 들어온 1년생 잡초이다.인천 근처에서 퍼지기 시작하여 전국으로 퍼졌으며 생명력이 강하여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란다꽃은 7~9월에 피며 전체에 긴 털이 있는 털백령풀과 흰색 꽃이 피는 큰백령풀이 있다. 백운풀: https://topman515.tistory.com/1618영암풀 : https://topman515.tistory.com/820백령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93털백령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163큰백령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238낚시돌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413민탐라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190 2020. 9. 17. 부들, 애기부들, 꼬마부들[부들과] 윗쪽부터 부들, 애기부들, 꼬마부들. 꼬마부들 : 키도 작고 과수가 타원형으로 동그란 모양이다. 애기부글 : 부들과 비슷한 모양이지만 과수가 가늘고 조금 작다. 부들 : 연못이나 습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애기부들과 부들의 비교 2020. 9. 17. 파대가리[사초과 방동사니속] 양지바른 습지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가 5~20cm 정도이고줄기가 벋으면서 꽃줄기와 뿌리가 자란다.꽃은 7~10월에 피고 꽃줄기 끝에 둥근 꽃차례가 1개씩 달린다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623금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622참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621알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712갯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690드렁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867병아리방동사니 : https://topman515.tistory.com/870푸른방동사니 : ht.. 2020. 9. 17. 여우구슬[대극과] 여우구술은 제주도에만 있는 줄 알았는데 충남에도 있었다.멀기는 하지만 제주도와는 비교할 수 없으니 달려가서 담아오다.들에 자라는 자그마한 잡초인데 열매가 구술처럼 예뻐서 진사들의 사랑을 받는 풀.꽃은 암꽃과 수꽃이 한 줄기에서 따로 피는 1가화이다.비슷한 식물로 여우 주머니가 있는데 여우구술은 잎이 원줄기에는 없고 잎줄기만 있다. 대극 : https://topman515.tistory.com/219붉은대극 : https://topman515.tistory.com/123 https://topman515.tistory.com/930 : https://topman515.tistory.com/1825흰대극 : https://topman515.tisto.. 2020. 9. 15. 밭둥근이끼와 물긴가자이끼[둥근이끼과] 논 가장자리 또는 물속에 자라는 이끼로 Y자로 분지하며 자란다 흔히 볼 수 있는 둥근이끼속으로는 밭둥근이끼와 물긴가지이끼, 은행이끼가 있는데 물긴가지이끼는 밭둥근이끼보다 훨씬 가늘고 물속에서도 자란다. 물긴가지이끼(밭둥근이끼와 함께 자라고 있다) 밭둥근이끼(논 가장자리에서 둥굴게 모여자라고 있는 모습) 2020. 9. 15. 방울고랭이[사초과 고랭이속] 산기슭의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키가 1~1.5m 이다.꽃줄기에 달려 있는 잎은 평평하며 길이가 20~30cm 이고 잎집은 줄기를 헐겁게 둘러 싼다.분화서는 1~4개로 끝에 달린 것은 크며 수차 갈라지고 옆에 달린 것은 작다. 검정도루박이 : https://topman515.tistory.com/528세대가리 : https://topman515.tistory.com/286방울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288송이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210세모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2348좀송이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1962층층고랭이 : https://t.. 2020. 9. 15. 금강초롱[초롱꽃과 금강초롱꽃속] 경기북부 이북의 높은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1900년대초 일본의 식물하자 Nakai가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하여 금강초롱이라고 이름 지었는데학명이 Hanabusaya Asiatica Nakaid 이다. 하나부사야는 일제식민지 때 3대 일본공사를 지낸원수인데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인 금강초롱의 학명에 그 이름이 들어가 있으니 원통하고 통탄스런 일이며 이는 처음 발견한 나카이가 일본총독부에 아첨하기 위하여 당시 일본공사의 이름을학명에 넣은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나라 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에 아픈 역사의 흔적이 씁쓸하기만 하다.초롱꽃 : https://topman515.tistory.com/1060 https://topman515.tistory.com/1973금강초롱 : ht.. 2020. 9. 12. 세대가리[고랭이과 세대가리속] 논밭이나 습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서 키나 5~20cm 이고 전체가 백록색이다.잎은 1~2개만이 잎새가 있다. 꽃은 8~10월에 피며 1~3개의 화수로 구성된다세대가리라는 이름이 영 거시기 하기는 한데.. 검정도루박이 : https://topman515.tistory.com/528세대가리 : https://topman515.tistory.com/286방울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288송이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210세모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2348좀송이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com/1962층층고랭이 : https://topman515.tistory.. 2020. 9. 12. 익모초[꿀풀과 익모포속] 들에서 자라는 2년생풀로서 7~8월에 홍자색의 꽃이 핀다.어릴 때 엄니는 내가 배탈이 나면 익모초를 뜯어서 즙을 내어주셨는데 그 맛이어찌나 쓰던지 진저리를 치며 마셨었는데 익모초 즙을 마시면 신통하게도 배탈이 낳아서 배탈이 잘 나던 나는 지독히 쓴 익모초 즙을 여름마다 마셔야 했다.익모초는 민가에서 산후의 지혈이나 보정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익모초 : https://topman515.tistory.com/285송장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820 https://topman515.tistory.com/2176속단 : https://topman515.tistory.com/2154 2020. 9. 12. 붉은사철란[난초과 사철란속] 남쪽의 섬이나 제주도 숲속에 자라는 난이다6~8월에 꽃이 피며 꽃잎에 붉은색이 있어 붉은사철란 이라 하는데 흰색의 붉은사철란도 있다사철란 : https://topman515.tistory.com/593붉은사철란 : https://topman515.tistory.com/284한국사철란 : https://topman515.tistory.com/1059자주사철란 : https://topman515.tistory.com/1207섬사철란 : https://topman515.tistory.com/1679 좋아요11공유하기통계글 요소 2020. 9. 10. 애기닭의장풀[닭의장풀과] 애기닭의장풀은 닭의장풀과 아주 흡사하다외화피 3장이 흰색이고 내화피는 2장은 연한 보라색, 1장은 흰색이며수술은 6개인데 4개는 헛수술이고 2개만 꽃밥이 있다.내화피 2장이 청색인 닭의장풀과 다르게 내화피 2장이 연한 보라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다닭의장풀, 좀닭의장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82애기닭의장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83좀닭의장풀, 흰좀닭의장풀 : https://topman515.tistory.com/97덩굴닭의장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595고깔닭의장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622 https://topman515.tistory.co.. 2020. 9. 10. 닭의장풀과 좀닭의장풀 닭의장풀과 좀닭의장풀은 모양과 크기가 비슷하여 구분하기가 쉽지않다.두 꽃의 차이 점을 살펴 본다.닭의장풀 종류는 수정 확률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꽃밥이 없는 헛수술을 달고 있는데(곤충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노랗게 보이는 수술이 꽃밥이 없는 헛수술이다.모든 닭의장풀은 수술이 6개인데 닭의장풀은 헛수술이 4개, 수술이 2개 이고 좀닭의장풀은 헛수술과 수술이 각 3개씩이다.꽃잎은 외화피 3장과 내화피 3장이 있는데 닭의장풀은 외화피 3장은 흰색이고 내화피는 청색 2장 흰색 1장이고 좀닭의장풀은 외화피 3장은 흰색이며 내화피 3장은 청색이다 기타 포와 잎의 차이 점은 아래의 표와 같다 구 분닭의장풀좀닭의장풍꽃잎외화피 : 흰색 3장내화피 : 3장(청색 2장, 흰색1장)외화피 : 흰색 3장내회피 : .. 2020. 9. 9. 이전 1 ··· 172 173 174 175 176 177 178 ··· 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