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59

위성류[위성류과] (늘 푸른 중간키 활엽수)위성류(渭城柳)는 중국의 위성에서 자라는 버들(柳)이라는 뜻이다식물 공부를 할 때 잎이 좁은 바늘잎인데 활엽수로 분류되는 나무라고 배우면서 어떻게 생겼을까많이 궁금했던 나무인데 밑으로 처지는 모양만 버드나무와 비슷하지만버드나무와는 완전히 다른 나무이다바늘잎의 모양이 측백나무 종류처럼 보이나 꽃이나 다른 특징으로 봐서 활엽수로 분류한다.꽃은 1년에 2번 피는데 봄철의 것은 늙은 가지에서 나오고 꽃이 크지만 열매를 맺지 않고 여름철의 것은 새가지에 달리며 꽃이 작고 열매를 맺는다 2020. 9. 25.
털장구채[석죽과 장구채속] 산자락의 양지쪽에서 자라는 2년생풀로서 전체에 잔털이 빽빼하게 난다꽃은 4~5월에 연한 분홍색으로 피며 원줄기 끝과 잎 겨드랑이에서 긴 꽃대가 나와서 1개씩의 꽃이 달린다 장구채 : https://topman515.tistory.com/1596가는다리장구채 : https://topman515.tistory.com/1586분홍장구채 : https://topman515.tistory.com/1592                  https://topman515.tistory.com/2187애기장구채 : https://topman515.tistory.com/1938털장구채 : https://topman515.tistory.com/304갯장구채 : https://topman515.tistory.com/1978끈.. 2020. 9. 25.
털여뀌[마디풀과] 습기가 많은 물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서 키가 2m 까지 자라고 전체에 털이 빽빽하게 난다꽃은 7~9월에 붉은 색으로 피며 꽃차례는 수상화서에 많은 꽃이 달린다.  잎집 같은 턱잎은 통 같으며 털이 있고 작은 잎이 달리는 것도 있다 씨앗은 납작한 원반 같으며 흑갈색이다. 지 종자를 약으로 사용한다.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667가시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750             개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751             https://topman515.tistory.com/1647개여뀌(흰색) : https://topman515.tistory.com/752꽃여뀌 : https.. 2020. 9. 25.
구절초[국화과] 2020. 9. 20.높은 산에는 식물들이 벌써 겨울 준비를 하고 있었다.성급하게 단풍이 드는 나무도 있고 꽃은 거의 지고 열매를 맺었으며늦가을에 피는 구절초와 쑥부쟁이가 마지막 아름다움을 뽑내고 있다구절초 : https://blog.daum.net/topman515/748     https://blog.daum.net/topman515/302            : https://topman515.tistory.com/1695                https://topman515.tistory.com/2286바위구절초 : https://blog.daum.net/topman515/680남구절초 : https://blog.daum.net/topman515/776산구절초 : https://topman5.. 2020. 9. 23.
돌외[박과] 울릉도와 남쪽 지방의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서 이리저리 엉켜서 자라거나 덩굴손으로 기어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기이며 소엽은 보통 5개이지만 3~7개인 것도 있다. 꽃은 8~9월에 황록색으로 피며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장과는 둥굴며 흑록색으로 상반부에 1개의 동그란 줄이 있다 2020. 9. 23.
꼬리조팝나무[장미과] 조팝나무는 익어서 벌어진 열매의 모양이 좁쌀로 지은 조법처럼 생겼다고 붙인 이름이다조밥나무가 변하여 조팝나무가 되었다.조펍나무는 종류가 많은데 꼬리조팝나무는 늦봄부터 여름까지 가지 끝의 긴 꽃대에 분홍색꽃이원뿔모양을 이루며 꼬리처럼 달려서 꼬리조팝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조팝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431                           https://topman515.tistory.com/1415갈기조팝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1026꼬리조팝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300당조팝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1801산조팝나무 : https://to.. 2020. 9. 23.
산오이풀[장미과] 높은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키가 40~80cm 정도이다.7~9월에 가지의 끝에 긴 원주형의 꽃차례가 밑으로 처지고 홍자색의 꽃이 다닥다닥 달린다.꽃잎은 없고 수술이 6~12개이고 수술대가 홍자색이라서 붉게 보이며 잎에서 오이 냄새가 난다오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782산오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99                          https://topman515.tistory.com/2168구슬오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786가는오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152큰오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872 2020. 9. 21.
벌개미취[국화과 참취속]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며 자란다.꽃은 6~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는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린다.원예용으로 많이 심으며 야생은 보기가 쉽지 않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된다참취 : https://topman515.tistory.com/658개미취 : https://topman515.tistory.com/337                  https://topman515.tistory.com/1188            : https://topman515.tistory.com/2222갯개미취 : https://topman515.tistory.com/338              https://topman515.tistory.com/753벌개미취 : ht.. 2020. 9. 21.
물옥잠[물옥잠과 물옥잠속] 물속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꽃은 9월에 청자색으로 핀다물옥잠 : https://topman515.tistory.com/297                 https://topman515.tistory.com/1153 물달개비 : https://topman515.tistory.com/767              https://topman515.tistory.com/2282부레옥잠 : https://topman515.tistory.com/2161 2020. 9. 21.
물레나물[물레나물과] 2020. 7. 18. 남덕유산 양지바른 산지에서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키가 0.5~1m이고 원줄기는 네모가 지며 밑부분이 목질로 된다. 꽃은 6~8월에 피며 황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며 가지 끝에 크 꽃이 달리는데 꽃잎이 낫같이 굽은 모양이 물레같다 하여 물레나물이라 하며 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한방에서 연주창, 부스럼 및 구충제로 사용한다 2020. 9. 19.
기생여뀌[마디풀과] 2020. 9. 17.습기가 많은 냇가나 논 주위에서 잘 자라는 한해살이풀로서 키가 40~120cm이고갈색의 긴 털과 대가 있는 선모가 있다.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양면에 선점이 있으며 잎집 같은 턱잎은 털로 싸여있다.줄기는 굵으며 긴 털이 빽빽하게 나며 끈적이는 부분이 있다.꽃은 6~9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수상화서는 가지 끝과 잎 겨드랑이에서 나오고적색의 잔꽃이 밀착하여 아름다우며 향기가 있어 기생여뀌라고 한다 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667가시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750             개여뀌 : https://topman515.tistory.com/751             https://topman515.tisto.. 2020. 9. 19.
꽃무릇[백합과 상사화속] 2020. 9. 15. 전남매년 추석이 다가 올 때면 사찰주변과 산 곳곳에  꽃무릇이 붉게 핀다가을에 꽃이 진 후에 잎이 나와서 월동을 하고 8월에 꽃대가 나올 때 잎이 지는 유일한 월동형상사화 인데 중국에서 들여 온 꽃이며 번식력이 강해서 주변에 다른 식물이 살지 못할 정도이다상사화 : https://topman515.tistory.com/1130붉노랑상사화 : https://topman515.tistory.com/2278진노랑상사화 : https://topman515.tistory.com/2279위도상사화 : https://topman515.tistory.com/252제주상사화 : https://topman515.tistory.com/2203백양꽃 : https://topman515.tistory.c.. 2020.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