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59

끈끈이주걱[끈끈이귀개과] 양지쪽 산성(酸性)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작은 벌레를 잡아 먹는 식충식물이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며 작은 벌레(파리, 모기 등)가 꽃술같이 생긴 선모에 닿으면 끈끈한 점액 때문에 붙어서 움직이지 못하고 선모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에 의하여 소화된다. 끈끈이주걱 : https://blog.daum.net/topman515/318 https://topman515.tistory.com/1292 좀끈끈이주걱 : https://topman515.tistory.com/1293 끈끈이귀개 : https://blog.daum.net/topman515/826 2020. 10. 8.
털부처꽃[부처꽃과 부처꽃속] 냇가 및 습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꽃은 7~9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3~5개가 취산상으로 달리며 분홍색으로 핀다전초에 타닌 및 사리카린이 들어 있으며 지사제로 사용한다털부처꽃 : https://topman515.tistory.com/316              https://topman515.tistory.com/548좀부처꽃 : https://topman515.tistory.com/1287미국좀부처꽃 : https://topman515.tistory.com/369        https://topman515.tistory.com/2255 2020. 10. 8.
과남풀[용담과 용담속] 웅담보다 더 쓰다고 용담이라고 하는 용담풀속 식물 중에 과남풀은 잎이 좁은 선형으로칼잎용담과 과남풀로 구분하였었는데 지금은 과남풀로 통합되었다.비교적 높은 산의 양지쪽에서 자라며 3맥이 뚜렷한 선형의 잎이 마주나며 꽃은 9~10월에파란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모여서 핀다. 한 낮에만 꽃잎을 열고 닫기 때문에꽃이 활짝 핀 모습을 보기가 쉽지 않다. 용담 : https://topman515.tistory.com/856                        https://topman515.tistory.com/2299과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315                     https://topman515.tistory.com/1721 진퍼리용담 .. 2020. 10. 6.
들깨[꿀풀과] 들깨의 꽃을 들여다 본적이 없었다.너무나 흔하게 볼 수 있고 꽃이 볼품없이 작아서 관심을 두지 않았기 때문인데산 속에서 긴화살여뀌를 담는데 특유의 들깨향을 내며 나도 야생화다 라고 당당히 서있는들깨를 보고 처음으로 담아 보다.  깨끗하고 핑크색 수술이 아주 예쁘다.그래 이제는 가까이에 있는 편한 꽃도 담아 보자 들깨 : https://topman515.tistory.com/314소엽 : https://topman515.tistory.com/657쥐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616털쥐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643들깨풀 : https://topman515.tistory.com/619산들깨 : https://topman515.tist.. 2020. 10. 6.
개도둑놈의갈고리[콩과 도둑놈의갈고속] 도둑놈의갈고리 종류 중 개도둑놈의 갈고리는 잎이 원형이고 줄기와 잎에 긴털이 빽빼하게 있어 다른 도둑놈의갈고리와 쉽게 구분이 된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총상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며 꽃대가 짧다 개도둑놈의갈고리 : http://blog.daum.net/topman515/313 도둑놈의갈고리 : http://blog.daum.net/topman515/311 도둑놈의갈고리, 개도둑놈의갈고리, 애기도둑놈의갈고리, 큰도둑놈의갈고리 : http://blog.daum.net/topman515/310 2020. 10. 6.
바위떡풀[법의귀과] 산속의 습한 바위 겉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동그란 심원형(心圓形)의 잎에는 결각이 있으며 잎줄기에 약간의 털이 있다.꽃은 7~9월에 백색으로 피며 길게 나온 원추상 취산화서에 모여 달린다.잎자루에 털이 많은 것을 털바위떡풀로 구분하는데 울릉도에서 자란다.나도범의귀 : https://topman515.tistory.com/2057바위떡풀 : https://topman515.tistory.com/312              https://topman515.tistory.com/602                      : https://topman515.tistory.com/1585 구실바위취 : https://topman515.tistory.com/218 참바위취 : https://topman51.. 2020. 10. 4.
도둑놈의갈고리[콩과 도둑놈의 갈고리속] 꽃보다도 선글라스를 닮은 꼬투리가 더 보기 좋은 도둑놈의갈고리. 꼬투리의 모양 때문에 붙여진 이름인데 밤손님은 선글라스를 쓰지 않을텐데' 3출엽의 소엽이 전체에 흩어저 나며 줄기가 자색을 띠는 특징이 있다. 개도둑놈의갈고리 : http://blog.daum.net/topman515/313 도둑놈의갈고리 : http://blog.daum.net/topman515/311 도둑놈의갈고리, 개도둑놈의갈고리, 애기도둑놈의갈고리, 큰도둑놈의갈고리 : http://blog.daum.net/topman515/310 2020. 10. 4.
도둑놈의 갈고리 모음 [콩과 도둑놈의 갈고리속] 도둑놈의 갈고리 종류는 도둑놈의 갈고리, 개도둑놈의 갈고리, 애기도둑놈의갈고리, 큰도둑놈으갈고리가 있다 꽃과 열매의 양이 비슷하여 구분이 어려운데 특징은 다음과 같다 도둑놈의 갈고리 : 줄기가 자색을 띠고 잎이 줄기 전체에 산생한다. 개도둑놈의 갈고리 : 잎이 둥글에 줄기와 잎에 털이 빽빽하게 난다. 애기도둑놈의 갈고리 : 잎이 줄기의 아래부분에만 모여나며 끝이 뾰하다. 큰도둑놈의 갈고리 : 소엽이 5~7개이고 키가 크고 꽃도 훨씬 크다. 꽃 도둑놈의갈고리 개도둑놈의갈고리 애기도둑놈의갈고리 큰도둑놈의갈고리 줄기 도둑놈의갈고리(줄기가 자색을 띤다) 개도둑놈의갈고리(줄기에 털이 많다) 잎 도둑놈의갈고리 개도둑놈의갈고리 애기도둑놈의갈고리 큰도둑놈의갈고리 열매 도둑놈의갈고리 개도둑놈의갈고리 애기도둑놈의갈고리 큰.. 2020. 10. 4.
즐겁고 화목한 추석 보내세요 몸은 멀리 마음은 가까이' 코로나로 인해 가족이 모이기도 어려운 추석이지만 화목하고 즐거운 추석 보내시기 바랍니다. 2020. 9. 30.
말털이슬[바늘꽃과 털이슬속] 약간 그늘진 산자락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키가 30~40cm 정도이다꽃은 7~8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총상화서는 꽃이 핀 다음 길게 길게 자라며 짧은 선모가 있다꽃잎으로 피는 말털이슬은 푸른말털이슬으로 부른다 털이슬 : https://topman515.tistory.com/2145쥐털이슬 : https://topman515.tistory.com/599개털이슬 : https://topman515.tistory.com/2159쇠털이슬 : https://topman515.tistory.com/2138말털이슬 : https://topman515.tistory.com/308푸른말털이슬 : https://topman515.tistory.com/1184            붉은털이슬 : https://topma.. 2020. 9. 28.
우단담배풀[현삼과 우단담배풀속] 외래식물 아니라고 할까봐 세력이 대단하다 키가 2m는 보통이고 꽃도 많이 달려서 번식력도 왕성하다. 잎이 담배잎을 닮았고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하여 우단담배풀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담배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617 두메담배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764 긴담배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771 우단담배풀 : https://topman515.tistory.com/307 2020. 9. 28.
주홍서나물[국화과 주홍서나물속] 나는 주홍서 나물이 좋다. 꽃이 화려하거나 예뻐서가 아니고 자신을 낮출 줄을 아는 겸손함이 있어서 좋아한다 꽃이 활짝피는 절정기에는 다소곳이 고개를 숙여 뽐내지 아니하고 꽃이 진 후 관모가 생기는 때에는 고개를 들어 노년에도 기죽지 않고 당당함을 보이는 기개도 좋다. 그래서 이 꽃이 좋다. 주홍서나물, 아푸리카가 원산인 한해살이풀이며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들녁에서 흔하게 볼 수있는 꽃으로 6~8월에 주홍색의 꽃이 아래를 향해 핀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붉은서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1627 주홍서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306 2020.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