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59 백선[운향과 백선속]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야산에서 자라며 햇볕이 잘 들고 습기가 많은 곳을 좋아 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우리나라 운향과 식물 중 유일하게 나무가 아닌 초본 류이고 운향과 식물의 특성대로 독특한 향이 강하게 난다. 키는 1m 넘게 자라며 잎은 깃꼴겹잎으로 타원형이고 꽃은 4~5월에 피는데 흰색 바탕에 붉은 색의 줄무늬가 있으며 포와 꽃에서 강한 냄새가 난다. 백선이라는 이름은 희고 선명하다는 뜻이고 뿌리는 봉황삼 또는 봉삼이라 부르는 좋은 한약재이다. 백선 : https://topman515.tistory.com/503 https://topman515.tistory.com/1067 : https://topman515.tistory.com/1478 2021. 6. 2. 돌나물과 말똥비름[돌나물과] 돌나물과 말똥비름은 모양도 비슷하고 생육환경도 비슷하여 자주 헷갈리는 식물이다돌나물과 말똥비름의 다름 점을 살펴보다.돌나물 :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잎은 끝이 뽀족한 타원형이고 3개씩 돌려난다. 육아(肉芽)를 만들지 않는다.말똥비름 :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 잎은 주걱 모양이고 마주난다. 육아(肉芽}를 만들어 번식한다.돌나물말똥비름 돌나물 말똥비름 돌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502말똥비름 : https://topman515.tistory.com/1578바위채송화 : https://topman515.tistory.com/687갯돌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1987땅채송화 : https://topman515.tist.. 2021. 6. 2. 신안새우란[난초과] 새우란과 금새우란의 자연교잡으로 생긴 난이며 신안지방에 자생한다.최근에는 인공교잡으로 다양한 색의 신안새우란이 유통되고 있으며 신안에서 매년 전시회도 열리고 있다.자생지에 숲이 우거져서 개체 수가 줄고 있으며 일조량의 부족으로 해걸이를 많이 하는데올 해는 다양한 색의 신안새우란을 만날 수 있었다. 향이 없는 새우란과 금새우란에 비해 신안새우란은 은은한향이 난다. 이 신안새우란은 해걸이를 않고 매년 이처럼 풍성하게 꽃이 핀다새우란 : https://topman515.tistory.com/186 https://topman515.tistory.com/485 : https://topman515.tistory.com/966 .. 2021. 6. 1. 줄딸기[장미과 산딸기속] 전국의 산자락에 자라는 덩굴성 낙엽지는 나무이며 줄기가 2~3m 정도로 자란다.줄기가 벋으며 잎마디에서 꽃대가 나와서 1개씩의 꽃이 달리고 5월에 연한 분홍색 또는 흰색의 꽃이 핀다열매는 7~8월에 붉게 익으며 먹을 수 있고 맛은 새콤달콤하다. 산딸기 : https://topman515.tistory.com/905멍석딸기 : https://topman515.tistory.com/507멍덕딸기 : https://topman515.tistory.com/911곰딸기 : https://topman515.tistory.com/32줄딸기 : https://topman515.tistory.com/500 https://topman515.tistory.com/1014제주장딸기 : https://to.. 2021. 6. 1. 나도제비란[난초과] 깊은 산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난초이며 5월에 분홍색의 꽃이 핀다 하나의 꽃대에 2개씩의 꽃이 달리며 꽃잎이 오리 주둥이를 닮아 오리난초라는 이명으로도 불린다 올 해는 봄 비가 잦아 생육생태도 좋고 보기 어려운 흰색의 나도제비란도 만났다 흰색의 나도제비란이 물가에 곱게 피었다. 갈메기란 : https://blog.daum.net/topman515/894 나나벌이난 : http://blog.daum.net/topman515/572 나도풍란 : http://blog.daum.net/topman515/10 넓은잎잠자리난초 : http://blog.daum.net/topman515/229 광릉요강꽃 : http://blog.daum.net/topman515/483 대흥란 : http://blog.daum... 2021. 5. 31. 이스라지[장미과 벚나무속] 이스라지란 이름은 앵두의 옛 이름 '이스랏'에서 왔다. 이스라지는 앵두와 열매만 비슷하게 생겼을 뿐 자라는 곳이 다른 전혀 다른 나무이다. 이스라지를 한자로 적을 때 욱리인(郁李仁)이라 하고 우리 말로는 '멧이스랏'이라고 적었다. '멧이스랏'은 산에 사는 이스라지'라는 뜻인데 오늘날 산이스라지라는 나무는 따로 있다. 산이스라지가 기본종이고 이스라지가 변종이다. 이스라지는 벚나무 종류이나, 큰 나무로 자라지 못하는 관목이다 숲 가장자리나 계곡에 자라며 추위에 강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잘 자란다. 비교용 앵두나무 열매 끝이 뾰족한 이스라지에 비해 동그랗고 잎에는 주름이 많다. 복사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433 https://topman515.tistory.com/.. 2021. 5. 31. 큰앵초[앵초과] 전국의 높은 산 반그늘 경사면이나 습기가 충분한 물가에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줄기는 없고 잎은 손바닥 모양의 둥근 신장형으로 가장자리가 7~9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꽃줄기 위에 1~4층으로 층층이 달리며 아래서부터 피기 시작하여 위로 올라간다 앵초 : https://topman515.tistory.com/113 https://topman515.tistory.com/443 : https://topman515.tistory.com/967 https://topman515.tistory.com/1383 : https://topman515.tistory.com/1876 흰앵초 : https://topman515.tistory.com/175 설앵초 : https://topman515.t.. 2021. 5. 29. 나도냉이[십자화과 나도냉이속] 물가나 들에 자라는 2년 생풀. 원줄기는 50~100cm 까지 자라며 전체에 털이 없다잎은 윤기가 있으며 큰 결각이 있고 뒷면은 자색을 띤다. 비슷한 종으로 유럽나도냉이가 있는데 전국에 퍼저있으며 노랗게 군락을 이루며 꽃이 핀다. 구별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비슷하게 생겼는데나도냉이는 열매가 화축에 붙어서 곧추서고 유럽나도냉이는 열매가 옆으로 벌어진다 나도냉이는 열매가 화축에 가까이 붙고 곧추선다 비교용 유럽나도냉이의 열매 맺은 모습이다. 열매가 화축에서 넓게 벌어진다냉이 : https://topman515.tistory.com/414 https://topman515.tistory.com/821싸리냉이 : https://topman515.tistory.com/907황새냉.. 2021. 5. 29. 엉겅퀴[국화과 엉겅퀴속]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는 여러 해 살이풀이다,피를 멈추고 엉기게 하는 풀이라 하여 엉겅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잎의 결각이 깊고바늘 같은 가시가 있는데 이는 동물로부터 줄기와 잎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엉겅퀴의 종류로는 엉겅퀴보다 가시가 크고 억센 개엉겅퀴,남쪽 지방과 제주에 자라는 바늘엉겅퀴 등의 15종이 있으며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약용하는데 주로 소화기 계통과 혈증 질환에 사용한다고 한다 엉겅퀴 : https://topman515.tistory.com/495개엉겅퀴 : https://topman515.tistory.com/1061 https://topman515.tistory.com/2440큰엉겅퀴 : https://topman515.tistory.co.. 2021. 5. 28. 붓꽃[붓꽃과] 공원 한편에 붓꽃이 곱다. 산과 들의 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꽃봉오리가 먹물을 머금은붓과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꽃창포와 모양이 비슷하여 꽃창포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는데 붓꽃은 6장의꽃잎과 고운 무늬가 있어서 쉽게 구별이 되며 창포류와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흔히 붓꽃류를 아이리스라고 부르는데 아이리스는 세계가 함께 부르는 붓꽃류의 속명이다.붓꽃의 꽃말은 '기쁜 소식'이니 봄날에 붓꽃을 보며 좋은 소식을 기다려 보면 어떨까.붓꽃의 종류는 각시붓꽃, 솔붓꽃, 난쟁이붓꽃, 노랑붓꽃, 노랑무늬붓꽃, 부채붓꽃 등등 아주 많다. 단오에 머리를 감는 창포와 물가에 자라는 꽃창포이다.창포꽃창포붓꽃 : https://topman515.tistory.com/494 http.. 2021. 5. 28. 감자난초[난초과] 충청 이남 지방 낙엽이 쌓인 숲 속 반 그늘진 곳의 물 빠짐이 좋은 비옥한 토양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난초로 둥근 알뿌리가 감자를 닮아서 감자란이라 부른다. 잎은 1~2개씩 나오며 긴타원형인데 꽃이 핀 후에는 황변해서 휴면에 들어가고 8~9월에 새 눈을 내어 월동한다. 꽃은 4~6월에 황갈색으로 피는데 "숲속의 요정"이라는 꽃말처럼 은은하게 예쁘게 핀다 갈메기란 : https://blog.daum.net/topman515/894 나나벌이난 : http://blog.daum.net/topman515/572 나도풍란 : http://blog.daum.net/topman515/10 넓은잎잠자리난초 : http://blog.daum.net/topman515/229 광릉요강꽃 : http://blog.daum.n.. 2021. 5. 27. 눈잣나무[소나무과] 설악산, 소백산, 태백산 등 중북부의 높은 산꼭대기에는 누워 자란다는뜻의 ' 눈이란 접두어가 붙은 나무가 자란다. 눈잣나무, 눈주목, 눈향나무가 그들이다.눈'자가 붙은 나무들은 처음부터 누운 모습은 아니었다.새나 동물, 사람에게 종자가 먹혀 원치 않는 높은 산꼭대기 에서 살게 되었고추위 때문에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억센 바람 탓에 한쪽으로 계속 쓰러지며 지냈다.이렇게 오랜 세월을 누워서 살다 보니 곧게 자라는 선조들의 형질을 어느덧 잃어버렸다.그래서 평지에다 옮겨 심어놓아도 여전히 누워서 자란다.설악산 중청 부근에 자라는 눈잣나무는 사람들에 의해 마구 파혜쳐 져서 보호가 시급한 상태이다. 눈잣나무 암구화수(암꽃) 눈잣나무 수구화수(수꽃)소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 2021. 5. 27. 이전 1 ··· 155 156 157 158 159 160 161 ··· 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