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359 구슬이끼 선류식물문 구슬이끼과 이 동네는 코로나 걱정이 없을까. 옹기종기 모여 있네 소곤소곤 대는 소리, 재잘거리는 소리 들릴까 하고 귀를 기우려 본다. 아직은 구슬이의 소리를 들을 수 없어서 예쁘다고 말을 건네니 방긋 웃기만 한다 나도 웃는다. 2020. 3. 26. 키버들 버드나무과의 잎지는 중간 키나무버들가지를 이용하기 위하여 재배도 했던 버들로키버들의 가지를 키를 만드는데 사용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한다암수가 다른 그루이다 키버들 수그루(수꽃) 키버들 암그루(암꽃) 원줄기는 연한녹색이다 버드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133수양버들 : https://topman515.tistory.com/158 https://topman515.tistory.com/1362 키버들 : https://topman515.tistory.com/140떡버들 : https://topman515.tistory.com/1998호랑버들 : https://topman515.tistory.com/1337 2020. 3. 25. 얼레지 백합과 여러 해 살이풀 산지의 비옥한 땅에서 자라는 얼레지는 한 개체당 20개 정도의 씨앗을 맺는데 이 씨앗의 끝에는 개미가 좋아하는 얼레이 오좀이라는 물질이 붙어있기 때문에 씨앗이 땅에 떨어지면 개미들이 몽땅 물고 집으로 운반한다. 운반된 씨앗에서 얼레이 오좀을 떼어 먹은 후 밖에다 버리는데 그 곳은 엄마로 부터 멀리 떨어진 곳이다. 이렇게 얼레지는 개미를 이용하여 종자를 넓게 퍼트리며 이 중에서 1/10 정도만 발아가 된다고 한다. 얼레지의 비늘줄기는 땅속20~30cm 정도로 깊이 들어 있으며 발아 후 6~7년이 지나야 꽃을 피운다 하니 얼레지 꽃을 꺽거나 훼손하는 일은 7년 공들인 얼레지의 노력을 짓밟는 일이 아닐까 흰색의 얼레지도 만나고 이 녀석은 짝퉁 흰색 이렇게 군락를 이루며 .. 어휴 너희들.. 2020. 3. 23. 자주광대나물 꿀풀과의 두 해 살이 풀 꽃은 광대나물을 닮았는데 잎이 자주색이라서 자주광대나물이 되었다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우리 나라에는 러시아에서 둘어 온 귀화식물이다 빛이 잘 드는 곳이면 들녁에서 부터 산기슭까지 아무데서나 잘 자라며 다른 귀화식물과 마찬가지로 군락을 이루며 자라서 주위에 다른식물 살지 못한다 자주광대나물신초 광대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128 https://topman515.tistory.com/931 : https://topman515.tistory.com/415 흰꽃광대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137 유럽광대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163 자주광대나물 : https://t.. 2020. 3. 22. 이전 1 ··· 555 556 557 558 559 560 561 ··· 5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