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59

족도리풀[쥐방울덩굴과 족도리속] 족도리풀 가족도 꽤나 복잡하다. 금오족도리풀, 개족도리풀, 털족도리풀, 무늬족도리풀, 각시족도리풀, 선운족도리풀, 족도리풀 등등.. 이 꽃은 그냥 족도리풀이다. 산지의 그늘에서 자라며 4~5월에 꽃이 피고 뿌리를 거담, 두통에 사용한다 족도리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207 https://blog.daum.net/topman515/449 : https://topman515.tistory.com/1442 각시족도리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893 개족도리 : https://blog.daum.net/topman515/1015 금오족도리 : https://topman515.tistory.com/1374 무늬족도리풀 : https://b.. 2020. 7. 1.
땅콩[콩과] 땅콩은 어떻게 땅속에 열매를 맺을까? 고구마나 감자 같은 뿌리채소와는 다르게 땅콩은 열매 즉 씨앗을 땅속에 맺는다 고구마는 덩이뿌리이고 감자는 지하 줄기가 덩이로 된 괴경(塊莖)이지 열매는 아니다. 즉 씨앗이 아니라는 것이다. 토란이나 무우 같은 뿌리 채소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땅콩은 수정된 씨앗을 땅속에 맺는다. 땅콩은 꽃이 피고 수정이 끝나면 꽃이 지면서 땅을 향해 암술머리가 길게 자라서 땅속으로 들어가 땅속에다 열매를 맺는다. 고소하고 영양이 풍부한 열매를 새, 동물, 곤충으로 부터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 땅속에다 열매를 맺도록 진화했를 것이라고 추측한다. 암술머리가 땅을 향해 자란다 길게 자란 암술머리가 땅속으로 들어간다 2020. 6. 30.
매화노루발[노루발과] 대개의 식물은 소나무 밑에서 살지 못하는데 난과 식물의 일부는 소나무 밑을 좋아한다.     발아 하는데 필요한 곰팡이가 솔잎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 추측을 하는데     난과 식물도 아닌 매화노루발도 소나무 밑에서 잘 자라는 식물 중의 하나이다.      올 해는 봄비가 잦은 탓에 매화노루발이 풍성하게 잘 자랐다노루발 : https://topman515.tistory.com/906매화노루발 : https://topman515.tistory.com/205             https://topman515.tistory.com/1516                   : https://topman515.tistory.com/2422분홍노루발 : https://topman515.tistory.com/921 2020. 6. 30.
나리난초 살펴보기 나리난초과 식물은 나리난초 계열과 옥잠난초 계열로 분류되는데                나리난초나 옥잠난초 계열의 난초는 꿀샘인 거(距}가 없다.                향기도 없고 꿀도 없기 때문에 곤충모양으로 진화해 수컷 곤충을 유인하여 수정하데                예주의 끝(주두)이 수정을 담당하는 곳이다. 나리난초 계열은 주두 끝이 뾰족하고                 옥잠나초 게열은 주두의 끝이 뭉툭하다                 예주 : 수정에 필요한 화분이 있는 부분으로 나리난초 계열난초는 예주(주두)가 뾰족하다                 순판 :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들어 갔으며 조금 휘어지거나 평평하게 펴진다                 꽃잎 : 실같이 가늘며 2개이고 밑으로.. 2020.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