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풀꽃방/나무류419

꾸지나무 뽕나무과 닥나무속의 잎지는 넓은잎 중간키나무꾸지나무는 닥나무와 마찬가지로 껍질을 벗겨 종이를 만드는 나무인데닥나무가 암수한그루인 1가화인 것과 달리 암수가 딴그루인 2가화이다닥나무보다 잎이 좀 크고 잎자루도 더 길다이름의 유래는종이를 만든다는 구지(構紙)가 된소리로 변해 구지나무- 꾸지나무로 된 것이다 꾸니나무 암그루(암꽃만 달린다) 꾸지나무 수그루(수꽃만 달린다) 비교용 닥나무 (암수한그루이며 붉은색이 암꽃 흰색이 수꽃) 닥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2601두메닥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994가거애기닥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2602꾸지나무 : https://topman515.. 2020. 1. 9.
묏대추 갈메나무과의 잎지는 키작은 나무묏대추는 대추나무가 집주변에서 자라는 것에 비해 산에서 자라는 대추나무라는 뜻으로 지어진 이름이다묏대추나무는 대추나무에 비해 키가 작은 관목이며  가시가 길쭉하게 크다.(대추나무는 턱잎이 변한 가시가 흔적만 있다)열매 또한 묏대추는 거의 원형에 가깝지만 대추는 타원형이다묏대추를 산조인(酸棗仁)이라고 하는데 초산자(酸)가 이름에 들러 있듯이 맛이 시큼하고 짭잘하며 주로 한약재로 사용된다            묏대추 : https://topman515.tistory.com/87              https://topman515.tistory.com/2274 2020. 1. 5.
산수유(山茱萸) 층층나무과의 잎지는 넓은잎 중간키나무 수유(茱萸}는 붉은열매(茱)를 매다는 나무(萸)란 뜻이며 산에도 심을 수 있는 수유나무란 의미로 산수유란는 이름을 쓰고 있다 삼국사기에 신라 경문왕 때 중국에서 들어 왔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름도 중국 이름을 그대로 쓰고 있다 8월에 익는 열매를 강장제로 이용한다 산수유 : https://blog.daum.net/topman515/85 https://blog.daum.net/topman515/936 2020. 1. 3.
노박덩굴 노박덩굴과 잎지는 넓은잎 덩굴식물 노박덩굴은 암나무와 수나무가 따로인 2가화이며 이름의 유래는 길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길섶이란 우리말을 한자로 쓴 옛 문헌에는 길섶을 노방(路傍)이라 했으며 길가에 잘 자라는 나무 즉 노방의 덩굴이 변하여 노박덩굴이 되었다 햇빛을 좋아하는 나무라서 길가의 양지쪽에 잘 자라며 비슷한 나무로 푼지나무가 있다 암꽃 : 3개로 갈라진 암술과 퇴화한 수술이 있다 수꽃 : 5개의 수술이 있다 노박덩굴 : https://topman515.tistory.com/84 노박덩굴 열매 : https://topman515.tistory.com/1690 노박덩굴과 푼지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1736 2020.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