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59

꽃며느리밥풀[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 7~8월에 홍자색의 꽃이 피는데 드물게 흰색의 꽃이 피기도 한다. 알며느리밥풀에 비해 포엽에 가시가 없거나 적고 꽃받침이 좁은 삼각형이다. 꽃며느리밥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736 새며느리밥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641 애기며느리밥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710 긴꽃며느리밥풀 : https://blog.daum.net/topman515/747 2021. 11. 2.
숫잔대[초롱꽃과 숫잔대속] 산기슭 습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외대줄기가 곧추서서 40~150cm 정도로 자란다 꽃은 7~9월에 보라색으로 피는데 질펀한 습지에서 자라고 줄기가 길게 자라서 사진으로 담기가 어렵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잎과 줄기는 약재로 사용한다 숫잔대 : https://topman515.tistory.com/735 층층잔대 : https://topman515.tistory.com/1581 가는층층잔대 : https://topman515.tistory.com/1806 가야산잔대 : https://topman515.tistory.com/1580 진퍼리잔대 : https://topman515.tistory.com/1544 당잔대 : https://topman515.tistory.com/1620 모시대 : https.. 2021. 11. 1.
버드쟁이나물[국화과 참취속] 산기슭이나 개울가의 습기가 잇는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뿌리줄기는 나무질로 되고 옆으로 길게 자란다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30~150cm로 자라며 굽은 털이 있다.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와 꽃이 비슷한데 버드쟁이나물은 잎이 깃꼴로 깊이 갈라지거나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으며 짙은 녹색을 띠는 특색이 있다꽃은 7~9월에 연한 보라색으로 피며 관모는 연한 노란색이다 쑥부쟁이 : https://topman515.tistory.com/362개쑥부쟁이 : https://topman515.tistory.com/363            https://topman515.tistory.com/674 가새쑥부쟁이 : https://topman515.tistory.com/1300까실쑥부쟁이 : https://topman.. 2021. 11. 1.
비짜루[백합과 비짜루속] 전국의 산지와 바닷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로서 줄기는 50~100cm이며원줄기는 둥글고 능선이 있고 위쪽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잎은 잔가지의 것은 막질이지만 큰가지와 원줄기의 것은 밑을 향한 가시처럼 되고좁은 선형이고 편평하며 끝이 뾰족하다. 암수가 다른 그루인 2가화이며꽃은 넓은 종형으로 5~6월에 연한 녹색으로 핀다.열매는 장과로서 둥글고 10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비짜루 : https://topman515.tistory.com/733천문동 : https://topman515.tistory.com/2376망적천문동 : https://topman515.tistory.com/2372 2021. 10. 29.
흰진범[미나리아재비과 초오속] 전국의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맹독성이며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거나 덩굴로 되며 길이가 1m에 달한다. 잎은 뿌리잎과 줄기잎은 잎자루가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며 밑부분의 잎은 3~7갈래로, 윗부분의 잎은 3~5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연한 황백색이며 8~9월에 피고 열매는 골돌과로 3개의 골돌이 있다. 뿌리를 진교라 하며 약용한다 2021. 10. 29.
개구리밥[개구리밥과 개구리밥속] 흔히 부평초라고도 부르는 개구리밥은 뿌리를 땅 속에 내리지 않고 물위에 떠서 자라지만 뿌리가 7~8개 있는한해살이수생식물이다. 잎 끝에서 육아(살눈)가 나와서 자라면 떨어져 나와서 독립체가 되는 방법으로 번식하며 겨울에는 휴면아가땅속에서 겨울을 나고 봄에 싹이 돋는다.그런데 이 개구리밥도 꽃도 피고 씨앗을 맺으며 가울에는 단풍이 드는 것은 여느 식물과 다르지 않다.유심히 살펴보면 참 재미있는 식물의 세계이다. 꽃은 너무 작아서 눈으로는 볼 수 없으며 메크로 렌즈로 촬영하여 크롭한 것이다.(꽃은 8월에 촬영하다}씨앗도 작아서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역시 메크로 렌즈로 촬영하여 크롭한 것이다.아주작은 씨앗이 2개 들어 있다.단풍이 드는 개구리밥, 가을이 왔다는 것은 생을 마감할 때가 된 것임을 알고 있는 모.. 2021. 10. 28.
큰석류풀[석류풀과 석류풀속] 열대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 보도불럭 틈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줄기는 10~30cm로 밑부분에서 가지를 처서 사방으로 넓게 퍼진다. 잎은 주걱 모양으로 4~7개가 돌려난다.꽃은 7~9월에 흰색으로 피며 3~5개가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린다.석류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318                 https://topman515.tistory.com/2345큰석류풀 : https://topman515.tistory.com/730 2021. 10. 27.
나도송이풀[현삼과 나도송이풀속] 산과 들의 양지쪽에 자라는 반기생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20~70cm이다.꽃은 8~10월에 줄기와 가지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리며 연한 자주색이다. 꽃부리는 종 모양으로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에 톱니가 있다.이 종은 나도송이풀 속의 유일한 종으로 근연종인 송이풀속 식물과 별도로 분류된다. 송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717나도송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729                   https://topman515.tistory.com/2295만주송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601한라송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7.. 2021. 10. 27.
한라송이풀[현삼과 송이풀속]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된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고도가 높은 산지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며 높이는 5~15cm이고 8~9월에 붉은색 꽃이 핀다한라산, 설악산, 가야산 등에 매우 드물게 분포한다송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717나도송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729                   https://topman515.tistory.com/2295만주송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601한라송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728애기송이풀 : https://topman515.tistory.com/168                    https:.. 2021. 10. 26.
좁은잎계요등[꼭두서니과 계요등속] 계요등에 비해 잎이 좁고 길쭉한 타원형으로 남부지방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꽃의 모양이나 피는 시기는 계요등과 특별히 다른 점이 없다 계요등 : https://blog.daum.net/topman515/1079 좁은잎계요등 : https://blog.daum.net/topman515/727 2021. 10. 26.
계요등[꼭두서니과 계요등속] 계요등(鷄尿藤)이란 이름은 닭계(鷄), 오줌뇨(尿)에서의 느낌대로 닭 오줌 냄새가 나는 덩굴'이라는 뜻이다. 한창 자랄 때 잎을 따서 손으로 비벼보면 약간 구린 냄새가 난다. 곤충들이 싫어하는 냄새를 풍겨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중국에서는 닭계(鷄), 똥 시(屎)를 써서 계시등이라 부르는데 닭똥 냄새가 나는 덩굴이라는 뜻이다. 굳이 따지자면 조류는 항문과 요도가 합쳐저 있어 오줌을 따로 싸지 않으니 계뇨등보다는 계시등이 합리적인 이름이다. 주로 남부지방에서 자라는 낙엽 덩굴성 나무이며 7~8월에 관모양의 꽃이 피는데 흰색이고 안쪽에 보라색의 반점이 있으며 꽃잎은 5갈래로 갈라진다. 비슷한 꽃으로 줄기와 잎자루, 꽃대 등에 털이 있는 털계요등과 잎이 좁은 좁은잎계요등이 있다. 2021. 10. 25.
층꽃나무[마편초과 층꽃나무속] 남해안 바닷가에 주로 자라며 반목본성 식물이다. 지상으로 드러난 부분 중 맡부분은 목질화하여 겨울에도 살아 있으나 대부분의 줄기는 죽어버린다. 줄기를 완전히 둘러싸면서 돌려나기로 촘촘히 피는 보라색 꽃이 일정한 간격으로 층을 이루어 핀다고 층꽃나무다. 출기에 회백색의 털이 빽빽하게 난다. 2021.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