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풀꽃방2285

선괭이눈[범위귀과 괭이눈속] 범의귀과 여러해살이풀산지의 습지에 자라는 선괭이눈은 꽃의 악편이 옆으로 벌어진 산괭이눈과 비교하여악편이 위로 선다하여 선괭이눈으로 명명되었다때 아니게 4월에 눈이 내려 눈속에 핀 선괭이눈을 담다.얼마나 추웠으며 잎이 얼었을까.  눈이 오지 않은 곳의 괭이눈과는 너무나 다른 모습에마음이 짠했던 날에...      꽃의 악편이 위로 선다 하여 선괭이눈이다  괭이눈 : https://topman515.tistory.com/1311흰털괭이눈 : https://topman515.tistory.com/131           https://topman515.tistory.com/935애기괭이눈 : https://topman515.tistory.com/143           .. 2020. 4. 18.
수양버들 버드나무과의 잎지는 넓은잎 큰키나무종소명 : babylonica는 바빌론이라는 뜻인데 실제로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의 자생은  확인되지 않았다 함.수양버들은 중국에서 들어온 버드나무로 원래 이름은 가지가 늘어진다하여 수류(垂柳)이다중국 수(隋)나라의 양제는 황하와 장강을 잇는 운하를 건설하고 제방에다 버드나무를 심었다.그래서 버드나무들은 수나라의 이름을 따서 수류(隋柳)라 했으며 수양제의 버드나무라 수양(隋柳)이라고도 했는데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수양(垂楊)이란 이름를 얻었다.양(楊)은 원래 사시나무를 나타내는 말이며 버들을 일컫는 류(柳)가 따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둘을 엄밀히구분하여 쓰지 않는다.비슷한 나무로 능수버들이 있는데 밑으로 축 처진 가지의 모양은 닮았으나 전혀 다른 나무이다수양버들은 수꽃과 암꽃.. 2020. 4. 17.
제비꽃과 흰들제비꽃 아스콘포장을 한 동네 골목에 담장과 아스팔트 사이의 틈새를 뚥고 나와 꽃을 피운제비꽃과 흰들제비꽃. 대단한 생명력이 경이롭다.인간이라면 저런 역경을 이겨 낼 수 있을까. 제비꽃과 흰들제비꽃흰들제비꽃흰들제비꽃제비꽃 2020. 4. 15.
명자나무 잎지는 넓은잎 작은키나무 명자나무의 '명자'를 한자로는 명사(榠樝)라고 쓰지만 "명자"로 읽는다 동의보감 한글본에도 그리 되어 있다. 명자나무 열매는 모과의 축소판 같은 모양인데 이 열매를 "명사자(榠樝子)라고 부르다가 가운데 글자를 생략해 명자로 부르게 되었다 비슷한 나무로 명자나무보다 키가 작고 흔히 누워 자라므로 풀 같다는 풀명자나무도 있다 명자나무 종류의 하나로 산당화(山棠花)를 따로 구분하기도 하였으나 명자나무로 통합하였으며 분재의 소재로 많이 활용되는 장수매도 산당화의 다른 이름이니 명자나무 이다 모과 : https://topman515.tistory.com/407 명자나무 : https://topman515.tistory.com/154 https://topman515.tistory.com/1.. 2020.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