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풀꽃방/야생화1375

노루귀[미나리아재비과] 이른 봄에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먼저피는 노루귀는 화경적을력이 뛰어나고 타가수절비율이 높아서사는 지역에 따라 꽃의 모양과 색이 많은 변이를 이르킨다.제주도 같이 척박한 곳에서는 작게 변이해서 새끼노루귀가 되고, 울릉도 같이 토양이 좋고 습기가 풍부한 곳에서는크고 상록성인 섬노루귀로 변이했다.키가 작고 연약해서 낙엽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노루귀 : https://topman515.tistory.com/398            https://topman515.tistory.com/107            : https://topman515.tistory.com/120                   https://topman515.tistory.com/928            .. 2021. 3. 19.
붉은씨서양민들레[국화과] 서양민들레는 "서양민들레"와 "붉은씨서양민들레"로 구분하는데 서양민들레는 씨앗이 누런 색이고 붉은씨서양민들레는 씨앗이 붉은색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잎의 모양도 조금 차이가 나는데 붉은씨서양민들레의 잎이 더욱 뾰족하여 화살촉처럼 생겼으며 우리가 흔히 보는 서양민들레는 거의 붉은씨서양민들레 이다. 민들레, 털민들레 : https://topman515.tistory.com/985 털민들레 : https://topman515.tistory.com/1843 흰민들레 : https://topman515.tistory.com/953 https://topman515.tistory.com/1840 흰노랑민들레 : https://topman515.tistory.com/986 https://topman515.tistory.. 2021. 3. 19.
큰개불알꽃[현삼과] 유럽원산의 두 해살이 풀로서 이른 봄(2~4월)에 양지바른 곳에서 하늘색의 꽃이 핀다.큰개불알풀이라는 이름은 개불알풀 종류(개불알풀, 큰개불알풀, 선개불알풀, 좀개불알풀, 눈개불알풀)의 열매의 모양이개의 불알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다른 이름으로 봄까치깨라고 부른다.유럽에서는 이 꽃의 수술2개가 새의 눈 처럼 보인다 하여 새의 눈(Bird's eye}이라고 부른다.또 다른 별칭으로 "큰지금"이 있는데 '지금'에 '큰" 자를 붙였으며 지금은 하자로 地錦 즉 땅위의 비단이라는 뜻이다 개불알풀, 선개불알풀, 눈개불알풀, 큰개불알풀 비교 : https://topman515.tistory.com/72개불알풀    : https://topman515.tistory.com/2438눈개불알풀 : https://.. 2021. 3. 19.
붉은색산자고[백합과] 백록 색 꽃이 피는 일반 산자고와 다르게 이곳의 산자고는 붉은색의 꽃이 핀다. 전체적인 모습은 같은데 붉은색의 꽃이 피는 것은 지역적인 토양이나 기후의 영향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산자고 : http://blog.daum.net/topman515/126. http://blog.daum.net/topman515/394 : https://blog.daum.net/topman515/941 붉은색산자고 : http://blog.daum.net/topman515/395 2021.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