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풀꽃방/야생화1375

국화잎아욱 [아욱과 국화잎아욱속] 북아메리카 쪽에서 들어온 귀화식물이다 제주도와 도서지방의 척박한 땅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며 봄부터 늦여름까지 주황색 꽃이 핀다 대청도에서 담다 아욱 : https://topman515.tistory.com/1157 국화잎아욱 : https://blog.daum.net/topman515/597 애기아욱 : https://blog.daum.net/topman515/598 당아욱 : https://blog.daum.net/topman515/1054 2021. 8. 24.
대청부채 [붓꽃과 붓꽃속] 대청도 바닷가 바위 절벽에 피는 대청부채는 수목원에서 보는 대청부채와는 달라도 너무 다르다.키도 작고, 꽃도 작으며 꽃의 색도 연하고 예쁘다.옹진군의 섬지방에 10곳 미만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 수도 많지 않다.8~9월에 분홍색을 띤 보라색 꽃이 피는데 오후 3~4시에 활짝 벌어지고 밤 10시에 오무라 들기 때문에시계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청도에서 담다붓꽃 : https://topman515.tistory.com/494                 https://topman515.tistory.com/1012      각시붓꽃 : https://topman515.tistory.com/459          https://topman515.tistory.com/153솔붓꽃 : https://topman.. 2021. 8. 22.
독말풀 [가지과 독말풀속]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한해살이플이며 약용식물로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 되었다. 잎과 씨에 독이 많은 풀이라는 뜻으로 독말풀로 불리며 독성이 강하여 잘못 먹으면 시력을 잃는다고 한다. 수면제와 마취제로 사용하던 약초이며 키가 1m 정도 자라고 8~9월에 자줏빛이 도는 흰색의 꽃이 피는데 이른 아침(6:00)에 꽃이피고 12:00 전에 오므라 든다. 대청도에서 담다 2021. 8. 22.
땅채송화 [돌나물과 돌나물속] 중부 이남의 바닷가 바위에 붙어사는 여러해살이풀이다다육 성 식물로 5~7월에 노란색의 꽃이 취산꽃차레에 달린다.돌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502말똥비름 : https://topman515.tistory.com/1578바위채송화 : https://topman515.tistory.com/687갯돌나물 : https://topman515.tistory.com/1987땅채송화 : https://topman515.tistory.com/592기린초 : https://topman515.tistory.com/1084애기기린초 : https://topman515.tistory.com/1543 2021. 8. 20.